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인가구 ‘소비파워(Power)’ 대단해졌네...3~4인가구보다 7만원정도 더 소비 여력
-양육 등 부담없어...소비키워드는 솔로(SㆍOㆍLㆍO)

-월가처분소득, 1인가구(81만원)>3~4인가구(74만원)

-기업들, 이같은 트렌드 발빠르게 대응해야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양육이나 부양 부담이 없는 1인가구의 ‘소비 파워(Power)’가 현실로 입증됐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의 소비여력은 3~4인가구보다 7만원 정도 더 컸다. 1인가구의 소비키워드는 ‘솔로(SㆍOㆍLㆍO)’, 즉 자기지향(Self), 온라인지향(Online), 저가지향(Low Pirce), 편리성지향(One-stop)으로 요약됐다.

이는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0대 후반부터 40대 전반의 전국 500가구(1인가구와 3~4인가구 각 250명)를 대상으로 ‘1인가구 증가가 소비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에 따른 결과다.

월가처분 소득이 전체 월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인가구는 32.9%로, 3~4인가구의 17.2%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았다. 금액면에서도 1인가구의 월가처분 소득이 80만5000원으로, 3~4인가구의 73만5000원보다 많았다.

월주거비용은 3~4인가구(55만5000원)가 1인가구(40만6000원)보다 월평균 15만 가량 더 많았다. 하지만 월수입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인가구(27.8%)가 3~4인가구(18.5%)보다 9.3% 포인트 더 높았다. 높은 주거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1인가구는 양육이나 가족부양 부담에서 자유로운 까닭에 소비여력이 3~4인가구에 비해 더 크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상의는 1인가구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소비키워드를 ‘솔로’ 정의했다.

일단 1인가구 증가는 자기지향성(Self-orientation) 소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향후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고자 하는 항목으로 1인가구는 여행(41.6%ㆍ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자기개발(36.0%), 레저ㆍ여가(32.8%), 건강(32.0%), 취미(26.0%) 순이었다.

또 1인가구는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을 제외한 패션ㆍ의류품목 등을 대부분 인터넷에서 구입하고 있어 온라인(Online) 지향성을 보였다. 1인가구의 증가는 저가지향(Low price) 소비트렌드를 더욱 확산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세일기간을 기다리는지를 묻자 1인가구의 과반수(51.2%)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1인가구는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번에 해결하려는 원스톱(One-stop) 소비경향이 강했다.

한편 혼자 사는 것에 대해서도 만족한다((56.4%)는 답이 만족하지 않는다(8.4%)에 비해 월등히 많아 1인가구는 시대적인 흐름임을 입증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소비여력이 큰 1인가구가 새 소비주체로 부상했다”며 “기업들은 이들의 연령별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특성을 세부적으로 면밀히 분석하고,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ㆍ서비스 개발과 유통채널 전개 노력 등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시장구조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