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감파일>“‘과학기술 중시?’ 박근혜정부, 이공계 고위공무원 10% 불과”
1명도 없는 부처, 기재부 등 18곳…장관급도 3명 그쳐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의대 진학 최근 3년간 33%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올 초 출범한 박근혜정부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창조경제를 핵심 국정철학으로 내세웠지만, 50개 정부 부처 고위 공무원 중 이공계 출신은 10명 중 1명으로 나타나 이공계 홀대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국가 연구ㆍ개발(R&D) 예산 편성 부처인 기획재정부의 경우 이공계 출신이 1명도 없었고, 창조경제를 관장한다는 미래창조과학부도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14일 경기 과천 정부과천청사 내 미래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래부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50개 중앙행정기관의 3급 이상 공무원 1244명 중 10.4%인 129명이 이공계 출신이었다. 이는 이명박정부 때인 2010년 13.7%보다 낮은 수치다.

기관별 이공계 고위 공무원 비율을 보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3명 중 3명으로 100%였고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60%ㆍ5명 중 3명) ▷기상청(57.1%ㆍ14명 중 8명) ▷특허청(50.0%ㆍ22명 중 11명)이 절반 이상이었다.미래부는 42명 중 17명으로 40.5%였다.

반면 기재부를 비롯, 국무조정실,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18개 부처는 이공계 출신 고위 공무원이 단 한 명도 없었다. 장관급의 경우는 미래부ㆍ환경부 장관, 원안위원장 등 3명에 그쳤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 ‘이공계 엑소더스’ 현상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2년 3년간 전국 대학에서 자퇴한 이공계생들은 총 5만9991명에 달했으며, 전체 자퇴생 중 이공계 비율이 66.2%, 사립대의 경우는 35.7%였다.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의 의대 진학률도 최근 3년간 33%로 높아졌다. 지난 2010년의 경우 의대에 진학한 수상자 비율은 20%였으나 2012년에는 42%로 두 배 이상 뛰었다.

이 의원은 “정부 부처부터 대학,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에 이르기까지 이공계 기피현상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해마다 심화되고 있다”며 “특히 정부 부처 고위 공무원은 각 부처 주요 보직을 맡고 있는 국ㆍ과장들로 정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공계 출신이 없다는 것은 사실상 과학기술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재부, 안전행정부와 협의해 공무원 채용시 이공계 출신을 우대하는 이공계할당제 등의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