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소고발ㆍ리더십 흔들…동양 현재현 회장 앞날은
관리인 선임여부도 불투명 법원ㆍ검찰에 운명


검사 출신인 현재현(64ㆍ사진) 동양그룹 회장이 곧 검찰의 조사를 받게 된다. 그는 1975년 검사로 임용돼 2년 간 부산지검에서 일했다.

기업어음(CP) 불완전판매 문제와 경영실패 책임 관련 현 회장은 고소고발ㆍ진정ㆍ탄원 등 각종 법적 심판을 요구받고 있다. 실패한 경영인에게 누구나 덧씌워지는 도덕적 해이ㆍ사기ㆍ배임ㆍ횡령 등과 관련된 심판이다. 현 회장의 성북동 자택 앞에서는 개인투자자와 계열사 직원들이 번갈아 시위를 벌이는 중이다. 게다가 ‘금괴반출’ 등 현 회장 일가를 둘러싼 음해성 소문도 난무하고 있다.

현 회장은 8일 동양증권 노조로부터 고소를 당한 상태다. 혐의는 특정경제가중처벌법 위반(사기)이다.

또 국감장 증인으로 국회에도 불려가게 됐다. 국회 정무위는 현 회장을 비롯해 정진석 동양증권 사장, 이승국 전 동양증권 사장을 불러 CP 불완전 판매 의혹에 대해 추궁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CP 판매와 관련해 현 회장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경실련은 고발장을 접수했다.

설상가상으로 동양그룹 채권자비상대책위원회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때 현 회장을 비롯한 현재의 경영진을 관리인에서 배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채무불이행에 따른 개인채무도 수백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여, 집도 절도 건지지 못하게 됐다.

현 회장의 리더십은 거의 상실된 것으로 보인다.

동양그룹은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기획조정실이 해체된 상태다. 위기를 관리할 컨트롤타워도, 의사결정기구도 없는 셈이다.

㈜동양ㆍ시멘트ㆍ네트웍스ㆍ레저ㆍ인터내셔널 등 비금융 계열 핵심 5개 사에 대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해 놓고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회생절차 개시 여부는 이르면 내주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 회장이 관리인으로 선임돼 구조조정을 통한 회생이 가능할지 여부는 순전히 법원의 판단에 달렸다.

옛 동양그룹 관계자는 “회생절차가 시작돼 구조조정이 본격화돼야 동양은 살아날 수 있다. 현 회장의 리더십 회복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