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농산물 생산지→ 골목상권 1일 배송시대 열린다
중기청 ‘ICT 융합플랫폼’ 활용
‘소상공인 창조경제 대책’ 발표

골목슈퍼 내년부터 시범운영
소상공인 정책자금 3000억 배정
‘특화지원센터’ 전국 6곳 설립
기술전수·공동생산·마케팅 지원


골목상권과 농산물 생산자간 1일 배송 유통망이 만들어져 신선한 로컬푸드가 공급된다. 또 소공인을 위해서는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세워 공동 생산ㆍ마케팅을 돕기로 했다.

7일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ICT 융합플랫폼’을 활용한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활력 회복대책을 마련해 올해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대책에 따르면, 전통시장과 골목슈퍼 등 골목상권과 농산물 생산자간 1일 배송 유통망이 올해부터 2015년까지 전국적으로 구축된다. 이를 통해 50km 이내에서 생산된 신선한 지역농산물(로컬푸드) 공급을 늘리게 된다. 대형마트에 비해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한 구매력 부족과 가격 경쟁력 하락을 해소하려는 차원이다.

골목슈퍼는 내년부터 2, 3개 지자체(200개 점포)를 대상으로 시범운영한 뒤 내후년 전국(10개 지자체)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통시장은 도매시장 기반시설과 기능을 갖춘 시장 1개를 선정, 올해 말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내년부터 전국(5개)으로 확산시키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기존 나들가게에도 당일 ‘온라인 주문ㆍ배송 시스템’을 도입, 나들가게와 중소유통물류센터간 상품주문→분류 및 출고→배송이 1일내 가능한 전산망이 구축된다. 현재는 나들가게가 직접 물류센터를 방문해 상품을 구입하고 있다. 


산지의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자로부터 직구매할 수 있는 소상공인 지원 포스몰도 내년부터 운영한다. 생산자가 포스몰에 농산물을 등록하고 식당ㆍ수퍼마켓은 POS단말기를 통해 주문ㆍ결제하게 된다.

이번 대책은 ICT(정보통신기술) 접목을 통한 경영혁신 유도가 특징. 전통시장과 골목슈퍼 등은 대형마트나 온라인쇼핑몰과 달리 정보DB, 모바일결제, SNS마케팅 등 ICT 활용이 크게 뒤쳐졌다. 이를 위해 신용카드거래(6억건)ㆍ상가 인허가정보(1억3000만건)ㆍ부동산 가격정보(1100만건) 등 빅데이터(총 7억4000만건)가 상권정보시스템에 활용된다. 동시에 도로ㆍ건물ㆍ지형 공간정보DB도 추가돼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예비 창업자를 위한 ‘창업자가진단시스템’을 도입하고, ‘상권 브로드캐스팅맵’도 만들어져 창업성공률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또 상권분석, 교육 등의 지원정보를 실시간으로 일괄 제공하는 ‘소상공인 지원 ICT융합플랫폼’이 내년까지 구축된다. 소상공인의 영업혁신을 위해선 IT솔루션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현재 소상공인들은 대부분 예약, 매출, 재고관리 등을 수기(手記)로 하고 있어 비용절감 등 생산성 향상에 애로가 있는 게 현실이다.

10인미만 제조업체인 소공인에 대해서는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전국 6곳에 세워 밀착지원에 나선다. 이 센터에는 전담매니저를 두고 소공인 지원사업 기획과 집행, 경영대학 운영 등을 지원하는 동시에 숙련기술 전수(기능인력 양성), 공동 생산 및 마케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내년 소공인 특화 정책자금을 3000억원 배정, 경영혁신 및 시설개선을 유도할 방침이다.

소공인은 제조업의 81.6%를 차지하는 뿌리산업으로 부품생산, 조립가공 등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 열악한 작업환경, 낮은 인건비 등으로 기술전수가 어렵고, 경영역량이 취약한 편이다.

한정화 중기청장은 “소상공인 분야에도 ICT를 접목해 창의ㆍ혁신기반을 확충하고, 자발적 공생협력을 통해 스스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조문술ㆍ이슬기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