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은 ‘법준수+사회공헌’, 일본은 ‘환경’...같은 듯 다른 양국 윤리경영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한국은 ‘법규준수’와 ‘사회공헌’, 일본은 ‘환경’.

한국과 일본의 윤리경영은 뿌리를 내리면서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이같이 특성은 다르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윤리경영의 정착과 진화에 적잖은 시사점이 엿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5일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한 ‘2013년 제3차 윤리경영임원협의회’에서 일본계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 서울지점의 김영환 본부장은 초청 강연을 통해 이같은 시각을 제시했다. 협의회는 최근 G20 비즈니스 서밋에서 논의된 반부패분과 동향 등 글로벌 윤리경영 현황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을 논의키 위해 마련됐다.

김 본부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프린터 기업 리코, 전자업체 소니 등 일본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에 대해 소개하며 “일본기업에는 ‘인본주의, 협조주의, 신뢰거래’라는 일본형(型) 경영 속에 윤리경영의 전통이 배어있다”고 했다. 그는 “일본은 80년대 공해문제를 겪었기에 일찌감치 지구환경에 대한 기여 등 친환경 쪽에 눈을 뜰 수 있었다”며 “일본기업은 협력사들과의 CSR 구매 시스템을 갖추고 ‘에코 경영’을 진화시켜 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과 일본기업의 윤리경영은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도입시기는 매우 비슷하지만, 현재 양국 기업의 윤리경영 내용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한일 소비자가 갖는 기업관이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기업이 윤리경영에서 기대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윤리지침 등의 조직 침투도가 다르기에 양국 윤리경영 특성이 차이를 보인다는 의견도 내놨다. 김 본부장은 “아무래도 일본은 룰(Rule)을 한번 만들면 지켜야 한다는 성향이 강한데 비해 우리는 그런 점에선 미흡한 게 사실”이라며 “우리가 윤리강령 신설 비율 등이 일본에 비해 절대 떨어지는 게 아니고, 우리의 장점도 많이 있지만 조직 침투도가 약하다보니 개선의 여지는 아직도 많은 게 사실”이라고 했다.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윤리경영에 대한 환경이나 국민적 이해가 국가마다 다르지만, 우리나라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일본기업의 윤리경영 사례를 들어보고 우리 현실에 맞는 윤리경영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돼 의미가 컸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오는 10월8일부터 11일까지 일본 도쿄지역으로 윤리경영 해외연수단을 파견해 경단련, 소니, 일본손해보험, NEC 등 선도기업과 기관의 윤리경영 추진 사례를 벤치마킹할 예정이다. 전경련은 이번 연수단 파견을 통해 우리기업의 향후 윤리경영 추진방향 설정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최병용 신세계 부사장을 비롯해 김정수 SK텔레콤 실장, 김동만 포스코건설 감사 등 임원협의회 위원과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