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셀 차관보, 日에 “역사문제 자제하라”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취임 인사 차 한국에 이어 일본을 방문 중인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역사 문제로 한일 관계를 악화시킨 아베 내각에 대해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러셀 차관보는 9일, 주일 미국 대사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역사문제를 둘러싸고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일관계에 대해 “정치 지도자들은 장기적인 이익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전략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역사문제가 장애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전향적인 (관계) 진전의 여지를 만들기 위해 모든 당사자는 자제와 배려를 갖고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형식상으로는 양국 정부에 모두 자제와 배려를 요청한 모양새지만 방한 시에는 관련된 언급이 없었다는 점, 최근 들어 일본의 우경화에 대한 미국 정계의 비판적 여론이 높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아베 총리와 자민당 내 우익 세력의 역사 왜곡 언행에 대해 경고장을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 외교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러셀 차관보의 이번 발언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관계에 대한 미국의 첫 공식적인 입장이라는 점에서 무게감이 실린다.

그는 “핵 미사일 개발 등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미국의 동맹국인 두 나라와 미국 간 실무적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동아시아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서라도 한일관계를 불필요하게 자극하는 일본 정계의 움직임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셈이다.

러셀 차관보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일본과 중국의 대립에 대해서도 “위기로 발전되기 쉬운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외교적 해결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다만 아베 내각이 추진중인 집단적 자위권 확보에 대해서는 “미국이나 주변국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집단적 자위권이 정확히 의미하는 게 무엇인지와 일본이 무엇을 하려는 지에 달렸다”며 “일본이 자신을 지키는 힘을 강화해 지역의 치안이나 안정에 공헌하겠다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아시아 재균형(Asia Rebalancing) 정책의 추진에 있어 일본에 일정 부분 부담을 나누려는 미국의 전략에 따른 반응으로 보인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