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리아 · 스노든 · 역사왜곡 · 영유권…국제갈등 봉합-증폭 갈림길 서다
G20 정상들 첨예한 이해관계
[상트페테르부르크=한석희 기자] 5, 6일 양일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담은 국제사회의 갈등을 봉합하냐, 오히려 증폭시키냐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미국-러시아(스노든, 시리아) ▷미국-중국(양적완화, 시리아) ▷중국-일본(영유권) ▷한국-일본(역사왜곡) 등 국가별 갈등뿐 아니라 양적완화와 재정건전성, 국제금융체제 개편 등 이번 G20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에 있어서도 국가별로 첨예하게 이해관계가 갈리고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동 가능성이다. 한국과 일본은 역사 갈등으로, 미국의 기밀을 폭로해 미 당국이 체포에 총력전을 펴고 있는 전 중앙정보국(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망명으로 팽팽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과 러시아는 시리아에 대한 무력개입을 놓고도 첨예하게 의견이 갈리고 있다.

현재로선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회동 가능성은 거의 없다. 약식만남 요청도 박 대통령은 시기상조라고 거절했다. 6일 G20 정상회담 두 번째 세션에서 박 대통령의 바로 옆자리는 아베 총리다. 박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나에게 맡겨달라”고 참모들에게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카쿠열도를 놓고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일본은 중국으로부터도 양자회담을 거절당해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모두 ‘왕따’를 당하게 됐다.

오바마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회동 가능성도 현재로선 제로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G20 정상회담 기간에 아베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별도의 양자회동을 갖지만 러시아와는 만날 의사가 없음을 명확히 했다.

특히 시리아에 대한 무력개입 여부를 놓고 양국의 의견은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군사공격에 대한 승인은 유엔 안보리만 할 수 있다”며 미국 주도의 공격 움직임에 반대를 천명했다.

양적완화에 따른 출구전략의 첫 단추로 양적완화 축소를 주장하는 미국과 국제금융시장 안정이 고려돼야 한다는 신흥국 간 의견이 팽팽하다.

선진국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으로 약화된 재정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해 지난해 멕시코 로스카보스 G20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대로 중기 재정전략을 이번 정상회담에서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재정여건이 취약한 일부 국가들은 경기회복을 위해 단기적으로 재정을 확대하는 등 재정건전화를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중기 재정건전화 노력과 함께 재정여력이 있는 국가들은 단기적으로 경기회복을 위한 유연한 재정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