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리랑 5호, 정상궤도에 진입…노르웨이 트롤 지상국과 교신 성공<2보>
[헤럴드경제(러시아 야스니)=신상윤 기자]다목적실용위성 5호(아리랑 5호)가 마침내 우주로 비상(飛翔)해 정상 궤도에 진입했다.

2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아리랑 5호는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22일 오후 8시39분(한국 시간 22일 오후 11시39분) 드네프르 발사체에 실려 발사돼 정상적으로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아리랑 5호는 발사 4분39초 뒤 페어링 분리, 15분14초만에 고도 550㎞ 상공에서 발사체에서 분리됐다. 이어 발사 후 32분만에 노르웨이 트롤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하면서 정상궤도 진입을 알렸다.

아리랑 5호는 합성 영상레이더(SARㆍSynthetic Aperture Radar)를 탑재, 전천후 관측이 가능하다. 기존 아리랑 2ㆍ3호는 가시광선을 사용해 햇빛이 없는 밤이거나 구름이 끼면 지상을 관측하지 못한다. 반면 영상레이더는 가시광선이 아닌 마이크로파(波)를 사용한다.

마이크로파는 가시광선보다 투과율이 좋아 구름을 통과할 수 있다. 아리랑 5호는 본격 운영되는 대로 밤ㆍ낮 하루 두 차례 한반도를 관측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기존의 아리랑 2ㆍ3호와 더불어 하루 네 차례 한반도를 관찰하는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상률 항우연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은 “향후 4개월에 걸쳐 보정 작업을 거치면 다목적실용위성은 최대 해상도 1m로 한반도를 하루 두 번 전천후로 촬영할 수 있다”며 “해양 유류사고, 화산 폭발 같은 재난 감시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리랑 5호는 애초 2011년 8월 발사 예정이었으나, 2년여에 걸쳐 발사가 연기돼 왔다. 항우연 관계자는 “군사 기지였던 야스니 발사장이 민간 사업을 병행하면서 러시아 내부에서 갈등이 있었다”며 “2년여간 아리랑 5호의 부품을 상세하게 점검해 기능 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했다”고 전했다.

아리랑 5호는 발사 약 6시간 뒤인 23일 오전 5시36분(현지시간 오전 2시36분)께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 처음으로 교신할 예정이다. 교신 성사를 통해 발사 성공을 최종 확인하게 된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