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전되면 어떡하지?…병원 · 횟집 ‘대정전 공포’
서울에서 작은 열대어 판매 수족관을 운영 중인 김모(41) 씨는 요즘 날씨가 두렵다. 단순히 더워서가 아니다. 하루하루 올라가는 온도만큼 불안정한 전력 수급 상황 때문이다. 김 씨는 지난 2011년 9월 15일 전국을 강타한 ‘블랙아웃’ 당시 수족관 열대어들이 대부분 폐사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그는 “그 후 자가발전기를 들여놓을까 하는 고민도 했지만 비용 문제로 엄두를 못 냈다”며 “제발 아무 일 없이 이번 여름이 넘어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력 예비율이 연일 위태로운 수치를 넘나들면서 지난 2011년 9ㆍ15 블랙아웃 당시 피해를 당했던 일부 업종 종사자는 다시금 두려움에 휩싸이고 있다.

당시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인해 수족관 및 횟집 내 물고기들이 폐사하고, 일부 병원에서는 보관 중인 약품 손상은 물론, 수술 중단 사태까지 벌어지기도 했었다. 그후 2년여가 지났지만 해당 업종 종사자들의 두려움은 여전하다. 특히 대형 업소의 경우 자가발전기를 갖추는 자구책을 마련 중이지만 중ㆍ소형 업소의 경우 블랙아웃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대한성형의사협회 관계자는 “병원의 경우 2011년 블랙아웃 이후 대형 병원에 대해서는 자가발전시설을 갖추도록 권고가 내려왔으나 강제 사항이 아니고 또 중소 병원의 경우는 비용 문제로 자가발전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권고가 실효성이 있으려면 정부의 보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가정에서 치료 중인 환자들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의료기기 문제도 대두된다. 소방방재청은 현재 심장재생 보조기구 등 가정 의료기기 사용인원을 따로 관리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방재청은 현재 전체 소방관서에 재난 대비용 비상발전기를 지원하고 소방관서에 비상 대기 근무를 지시하고 있지만 전적으로 해당 가정의 신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블랙아웃으로 인한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도 문제다. 지난 블랙아웃 당시에도 피해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박완주 민주당 의원의 국정 감사자료에 따르면 2011년 정전 당시 총 9094건, 628억여원의 피해 보상 신청이 접수됐지만, 실제 보상된 것은 총 6870건, 74억원(건수 기준 75%, 신청액 기준 12%)에 불과했다.

서상범 기자ㆍ김지희 인턴기자/tig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