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 결연한 말복(末伏)
요즘은 여름이 비수기라지만, 농경사회 우리 조상들에겐 가장 바쁜 때였다. 잡초가 하루가 다르게 자라니 매일 김매기를 해줘야 하고, 2모작 작물을 또 심는 시기이다. 감자, 오이, 가지, 수박의 수확기였고, 장마로 습해진 보리 등 봄 곡물을 삼복염천(三伏炎天)의 뙤약볕에 말리는 때였다.

말복은 가을에 수확할 작물이 한참 영그는 시기이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복날 비가 오면, 청산 보은의 큰 애기가 운다’는 말이 있다. 대추가 영글어가는 시기인데, 대추 팔아 결혼자금 마련하던 충북 보은 처자들은 8월 빗줄기를 원망한다는 뜻이다.

‘말복 나락 크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는 말도 있다. 벼는 초복에 한 살, 중복에 두 살, 말복에 세 살이라고 했다. 그만큼 말복을 전후해 빨리 자란다는 뜻이다.


지루한 여름 중에, 말복의 의미는 다르다. 12일은 입추 다음으로 오는 첫 경일(庚日), 말복이다. 민속학자 구미래는 “십간십이지의 십간 중 하나인 경(庚)은 가을을 상징하는 ‘금(金)’인데, 금 기운으로 여름의 ‘화(火)’ 기운을 물리치려는 의미”라고 설명한다. 육당 최남선도 ‘서기제복(暑氣制伏)’ 즉 더운 여름 기운을 제압하는 날로 해석한다. 말복은 극복이다. 환경도 ‘극복’ 모드를 뒷받침한다. 농가월령가는 이 즈음 “비가 와도 빨리 개고 바람도 다르다”고 했다. 모기 입이 비뚤어지고 더위가 물러가는 처서(處暑)를 열흘가량 앞둔 터라, 그간 지쳐 있던 몸이 다시 기지개를 켤 만하다.

말복은 비수기 폐막의 신호탄이다. 휴가 때 충전한 에너지와 복날 보양식에서 얻은 영양분으로 내 민생 내가 돌볼 때다. 결실을 향한 실천의지를 다지는 ‘결연한 말복’이다.

함영훈 미래사업본부장/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