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적조 확산일로, 가두리 풀어 피해 줄여야
적조 피해가 연일 확산일로다. 지난달 20일 경남 거제에서 처음 피해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양식 어류 1400만마리가 폐사했다. 피해 규모도 갈수록 커져 경상남도만 해도 100억원을 넘어섰다. 밀려오는 적조를 막기 위해 해당 지자체와 어민들이 안간힘을 쓰지만 역부족이다. 등등해진 적조의 기세는 꺾이기는커녕 오히려 피해 지역이 더 넓어져 이제 동해 포항지역까지 올라갔다. 적조재앙은 연례행사처럼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지만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적조현상은 수온의 이상 상승과 오염 등으로 적조류가 대량 번식하면서 바닷속 산소량을 떨어뜨려 물고기 등이 질식해 죽게 되는 것이다. 특히 양식장처럼 물고기와 패류 등이 집단 서식하는 곳에 적조가 덮치면 순식간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 그러나 적조가 닥쳐도 막아낼 방법이 뾰족이 없다는 게 문제다. 황토를 뿌려 적조생물을 바다 밑으로 침전시키는 게 지금으로선 유일한 방안이다. 이마저도 황토가 바다의 부(富) 영양화를 초래케 해 나중에 더 큰 적조현상을 불러온다며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지자체에만 맡길 게 아니라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 확실한 방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근본적인 처방은 해양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적조현상의 최대 주범은 해양오염이다. 육상의 각종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지고, 특히 산업폐수와 생활오수 등이 마구 유입되면 질소와 인 등 부영양화를 촉발하는 요소들이 대거 늘어나 적조가 생기는 것이다. 그나마 우리도 런던의정서에 가입, 내년부터는 바다에 산업 폐수를 쏟아내면 처벌을 받는 법이 발효돼 해양 오염이 한결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결국 우리 스스로 바다를 지킨다는 사회분위기 확산과 그 의지를 적극 보이는 것이 적조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셈이다.

기왕 적조가 닥쳤다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최선이다. 대량으로 물고기를 키우는 양식장은 적조가 덮치기 전에 아예 가두리를 풀어 바다로 방류해 버리면 적어도 떼죽음은 피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죽은 물고기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지 않아도 되고, 근해 어족 자원이 풍부해지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있다. 그런데도 양식어민들이 이를 기피하는 것은 보상 때문이다. 방류를 하나, 폐사하나 시가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보상금이 똑같아 끝까지 버티는 것이다. 요행히 살아남는 물고기가 많으면 그만큼 이익이기 때문이다. 적조 방제대책 연구와 함께 방류 보상비 현실화도 정부가 풀어야 할 과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