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계 “50조 수출마중물 무역보험 위축 우려... 輸銀 중심 일원화 반대”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경제계가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무역보험을 일원화하려는 정책금융 개편 움직임에 대해 ‘무역보험 위축론’을 주장하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수은은 자산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으로, 리스크가 큰 해외사업 지원이 어렵다”며 수은 중심의 일원화 논의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은행과 달리 건전성 규제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지난 20여년간 중장기 무역보험을 활발하게 늘려온 무역보험공사에 그대로 존치해 달라는 것이다.

무역보험은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이후 국제적으로 용인되는 대표적인 수출진흥 정책수단으로, 그 활용도를 넓히기 위해 1992년 수은에서 무보를 분리시켰다. 하지만 최근 정책금융체계 개편 논의에서 다시 중장기 무역보험의 수은이관 방안이 거론되면서 수출금융제도가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낳고 있다.

실제로 수은에서 무역보험을 총괄했던 1992년 지원실적은 1조8000억원 수준에 그쳤으나 무보 설립 20년이 지난 지금 현재 202조원에 육박해 활용도가 100배이상 증가한 상태다

상의는 정책금융 개편 논의로 신흥시장 개척과 중소ㆍ중견기업 수출활동의 위축이 예상된다고도 밝혔다. 상의는 “최근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같은 신흥경제권을 중심으로 고수익ㆍ고위험의 대형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신흥시장에서 성장활로를 찾고 있다”며 “무역보험업무의 은행이관시 이같은 고위험 대형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이 약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담보도 부족한 중소ㆍ중견기업의 수출활동 지원 역시 축소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상의는 특히 “우리의 경쟁국인 일본, 독일, 중국 등 주요 경쟁국들도 ‘무역보험이 대표적 수출진흥책’임을 인식하고 수출자금 지원과 무역보험 지원을 이원화해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OECD가 주요 36개국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수출자금 지원과 무역보험 지원을 통합운영 중인 나라는 5개국에 불과했다. 특히 단기보험과 중장기 보험을 분리 운영하는 사례는 전무했다.

경제계는 “그동안 수은 자금지원, 무보는 보험지원을 맡아 각자 고유역량을 강화하면서 기업의 수출경쟁력을 높여왔고 이는 두차례 경제위기 속에서 우리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원동력이 됐다”며 “특히 무보는 금융권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ㆍ중견기업들에게 보증을 제공해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해 왔다”고 주장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 무역보험을 2배이상 확대지원하기도 했는데, 수은 이관이 현실화되면 이같은 위기극복 지원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게 경제계의 걱정이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한 민간연구소에 따르면 무역보험의 수출기여 효과는 5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50조원의 수출 마중물인 무역보험이 위축되지 않도록 수은으로의 업무이관에 최대한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