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흥국 ‘제 2 외환위기’ 고조…불안한 한국시장에 치명타될까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버냉키 쇼크’ 이후 신흥국들의 외환보유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1990년대 말 아시아를 강타했던 외환위기의 재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장 ‘제 2의 외환위기’가 발생할 확률은 낮지만 현실화될 경우 불안한 한국시장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7일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을 제외한 12개 주요 신흥국의 6월말 외환보유액은 약 2조9700억달러로 4월 말 대비 2.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가 불거졌던 2011년 11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인도네시아와 인도는 4% 이상 급감했다.

한국 또한 외환보유액이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6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3264억4000만달러로 전월보다 16억6000만달러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주요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급감한 원인은 미국의 출구전략 우려가 부각되면서 신흥국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대거 빠져나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당장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나타날 가능성은 낮지만 아직 안심할 수준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거시경제팀장은 “일부 신흥국은 출구전략에 대한 리스크가 완화된다 하더라도 자국내 사정 등 근본적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자금 이탈과 규모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특히 현재 신흥국들이 보유외환을 매각해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고 있어, 1990년대말 아시아 상황과 유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시 아시아 국가들은 갑작스러운 외환 유출에 따른 달러 품귀 현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만약 같은 위기가 발생할 경우 답보 상태에 빠진 한국 경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도 이때문이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외환부문이 안정돼 있지만 일부 신흥국의 금융시장이 요동칠 가능성에 미리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상조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외부충격은 우리로서 통제할 수 없는 외생변수인 만큼 가계부채 같은 국내의 불안요소들을 사전에 제거하는 쪽에 노력을 집중해야 된다”고 꼬집었다.

반면 JP모건체이스는 “12개국의 외환보유액은 10년 전보다 3배 가량 많은 수준이며 보유외환 고갈로 외환위기가 발생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