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방도 아웃소싱?…英 실험 시작된다
무기구매업무 세계 첫 민간 이양
주관땐 국방예산 절반 관리
군수·컨설팅업체등 20여곳 눈독



영국이 유럽권에서 사상 최초로 군수무기 구매 업무를 민간에 넘기는 실험(?)에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시간) 영국 정부가 향후 10년간 총 1590억파운드(약 271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군사장비 구매 업무를 민간회사로 넘기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영국의 군사장비 구매를 총괄하던 곳은 국방부 산하 국방장비지원(DE&S) 부서다. DE&S는 영국 육ㆍ해ㆍ공군에 투입되는 모든 장비를 구입 및 지원하는 곳으로, 한 해 예산으로 약 140억파운드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런데 이 DE&S 부서를 민간 대리업체가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영국 정부의 구상이다. 이른바 ‘GOCO 플랜’이다.

영국 국방부를 대신해 군사장비 구매 협상부터 계약까지 주관할 대리업체로 최종 선택된 회사는 오는 2022년까지 10년간 DE&S 부서 앞으로 배당된 총 1590억파운드, 연간 159억파운드의 국방 예산을 주무를 수 있게 된다. 지난해 영국 정부가 국방비로 쏟아부은 예산은 총 384억파운드로, 한 해 영국 국방비의 절반가량이 민간업체의 손에 떨어지는 셈이다.

전무후무한 이 국방 아웃소싱 사업에 현재 20여개의 군수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및 컨설팅업체가 이 사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군수업체 베첼, 엔지니어링업체 CH2M힐, 발포비티(Balfour Beatty), 컨설팅업체 캐피타, PA컨설팅 등은 최종 업체로 선정되기 위해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등 눈치싸움도 치열하다.

영국 정부는 연말까지 이들 중 최종 후보를 골라낸 뒤, 앞으로 18개월 이내에 국방 아웃소싱 사업을 최종 마무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군수장비 구매를 민간에 맡기겠다는 영국 정부의 행보가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영국 국방부 측은 “GOCO 플랜은 초과 비용이나 불필요한 시간 소요를 막기 위한 일”이라고 설명하지만, “국방의 책임을 국가가 먼저 내버리는 일”이라는 반대 여론도 만만찮기 때문이다. 특히 후보업체 중 미국 기업들이 섞여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영국 국민들 사이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승연 기자/sparkli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