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수장없는 한국거래소 더이상 안된다
한국거래소 수장자리가 근 한 달째 공석이다. 청와대가 지난달 ‘관치금융’ 논란이 일자 공공기관장의 인선 절차를 사실상 중단시킨 데에 따른 것이다.

선임 절차 재개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공석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도 내비친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사장 선임 절차는 전면 중단된 상태”라며 “아직 재개 여부에 대한 어떠한 지침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13일 김봉수 전 이사장이 퇴임한 이후 이사장 선임 절차가 단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이에 금융투자업계는 우려에 휩싸여 있다. 거래소 이사장은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자리다. 증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끌어야 할 중책을 맡고 있다. 이사장의 장기 공석 사태가 증시의 정책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 국내 증시는 하루하루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미국과 중국발 악재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이 폭락하면서 연중 최저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도 그치지 않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시장 안정화와 투자자 보호 대책 등이 절실한 시점이다. 그러나 좌표를 설정해야 할 수장이 없다 보니 증시위기에 대한 실질적인 대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한국거래소 내부 분위기도 어수선하기 그지없다. 정부는 인선 절차를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원칙만 제시했을 뿐, 명확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거래소 내부에는 이사장에 대한 하마평만 무성하다. 새로운 수장을 맞기까지 한두 달이 더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후보 11명이 무더기 지원한 이사장 선임 절차가 백지화되고 재공모할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이런 가운데 산적한 현안은 올스톱된 상태다. 자본시장법 개정안 통과 이후 새롭게 진행해야 할 대체거래소(ATS)와 장외청산거래소(CCP) 등 시급히 처리해야 할 일이 산더미다.

이사장 공석 사태가 길어지는 만큼 증시 안팎에서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이에 증권가를 비롯한 금융투자업계는 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바라고 있다. 거래소 이사장 선임 절차가 더 늦춰져서는 안 된다. 

권도경 기자/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