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강택구> 북한, DMZ 세계평화공원 외면 말아야
화해의 손길을 북한은 예전처럼 외면하는 우를 또다시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통해 한반도 긴장완화와 동아시아의 평화번영을 도모하기 위해 북한 지도부의 의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의 산물로 설정된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가 생긴 지 60주년이 되는 해다. 한반도를 서에서 동으로 가로지르는 DMZ는 남북 간의 무력충돌을 방지하는 경계선의 역할을 하면서 역설적이게도 ‘중무장지대’가 되었다. 동시에 사람의 출입을 엄격히 금지한 결과, 천혜의 자연보고이면서 자연 천이가 이루어진 생태 현장으로 국제적 가치가 높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5월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유지해 나가면서 DMZ 내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DMZ 평화공원 조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물론 북한의 태도에 따라 공허한 계획이 될 수도 있다. 북한은 DMZ를 군사안보적 목적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고, 평화적 이용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번에 내놓은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제안에 대해서도 북한은 “민족 분열의 불행과 고통을 안고 사는 온 겨레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북한은 경의선과 동해선이 개통되기 전인 2004년에도 DMZ에 대해 “세계적으로 생태환경이 가장 혹심하게 파괴된 지역”이라면서 “강하천까지도 끊어놓아 물도 제대로 흐를 수 없게”되었으며, 고엽제 살포 등으로 “독해물로 오염”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의선과 동해선이 개통되었고 금강산관광, 개성관광, 개성공단이 가능해진 바 있다. DMZ의 군사안보적 목적에 침해받지 않고 북측에 경제적 이득이 발생하는 범위 내라면 DMZ의 활용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숨지기 전인 2011년 11월 북한은 DMZ 내에 디즈니랜드를 포함한 평화도시 건설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DMZ 내 세계평화공원 제안 역시 정교하고 구체적으로 다듬어 ‘윈윈 전략’을 구사한다면 북한 역시 거절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비무장지대 평화공원은 당장의 실현이 어렵다하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도자가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과 가까운 중국과 인도의 예를 들어보자. 1962년 국경분쟁을 겪은 중국과 인도는 실질통제선의 20㎞ 뒤로 각각 후퇴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후 산발적인 국지전과 대치상태까지 치렀지만, 지금 양국은 공단(industrial park) 설치를 협의 중이다. 갈등과 대립으로 치닫던 국가들도 이제는 협력과 교류를 통해 공생의 경제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의 예에서 보듯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양국 지도부의 노력 역시 간과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의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제안은 신뢰프로세스에 기반을 두었다는 점에서 이전 대북 제안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상대방인 북한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면 더욱 유연하게 북한에 응하겠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박 대통령이 건네는 화해의 손길을 북한은 예전처럼 외면하는 우를 또다시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통해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동아시아의 평화번영을 도모하기 위해 북한 지도부의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과 의지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