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사해결, 나무심기로는 역부족…인공강우 방목규제 등 필요
[헤럴드경제=안상미 기자]황사 해결을 위해 한ㆍ중ㆍ일 3국이 인공강우나 방목규제 등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기존 나무심기 등 생태복원 사업만으로는 황사를 줄이는데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27, 28일 이틀 동안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한ㆍ중ㆍ일 황사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ㆍ중ㆍ일 3국 전문가들은 기존 생태복원 사업만으로는 황사를 줄이는데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인공강우, 방목규제 등 황사를 저감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논의했다.

일본 시미즈 아츠시 연구관에 따르면 베이징, 서울, 도쿄 등 3개 도시에서 2008~2013년 최근 6년간 관측한 결과 황사 강도는 해마다 크게 달라지고 도시와 고도에 따라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복원사업에도 뚜렷한 감소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또 지상에서 황사가 감소한 것으로 보일 때도 대기 상층부에서는 황사가 변함없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우리나라 황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비사막의 경우 광산 사업 등으로 지표 식생이 파괴됐다. 몽골은 이미 지난 1990년 가축사유화 허용 조치 이후 과잉 방목으로 건조ㆍ반건조 초원 지역의 식물들이 많이 파괴된 상태다.

장임석 환경과학원 연구관은 “몽골 북부나 북서부 지역이 상대 습도, 구름양, 대기 열적 구조 등 인공 강우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기 때문에 고비 사막의 복원보다는 사막화의 확대를 저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방목이나 광산 개발 등 인위적 요인으로 사막화 위험이 있는 초원지역에 정부 차원의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황사의 발생, 이동, 영향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저감을 위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한ㆍ중ㆍ일 환경연구원장 협력 사업으로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 실무적으로 전문가들이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hu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