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할곳 못찾는 청년층…취업자 15%〈5월 전체취업자 중 비중〉 ‘사상최저’
고학력자 눈높이 실업증가 등 영향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15~29세) 비중이 관련통계 작성 이후 5월 기준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청년인구 감소라는 인구요인에다 고학력자 증가에 따른 눈높이 실업의 증가, 글로벌 저성장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이는 성장동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년 대비 올 하반기 3% 이상 성장을 목표로 잡은 정부의 계획에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청년층 취업자는 382만6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539만8000명)의 15.1%를 기록했다. 통계를 처음 작성한 1983년 5월의 31.5%에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5월 기준으론 사상 최저다.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하 5월 기준)은 1988년 28.6%로 첫 20%대에 들어섰다. 이어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3.7%, 카드대란이 몰아쳤던 2003년 20.5%에서 2005년 10%대(19.4%)에 진입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7.0%로 내려앉은 데 이어 ▷2010년 16.6% ▷2011년 15.9% ▷2012년 15.6%까지 추락했다. 고용률도 마찬가지다. 5월 15~29세의 고용률은 40.1%로 통계작성 이래 최저다.

이런 현상의 주 원인은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라 청년층의 비중이 낮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하강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진다. 청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 30.4%에서 2010년 20.9%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은 31.5%에서 16.6%로 인구감소 속도보다 빠르다. 정부는 청년층 상당수가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