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건설ㆍ해운ㆍ조선’ 회사채 상환 압박…내년 상반기 최대 고비될 듯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건설ㆍ해운ㆍ조선 등 ‘3대 취약업종’에 대한 회사채 상환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1일 금융투자업계와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주요 건설ㆍ해운ㆍ조선사의 올 하반기(7∼12월)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약 4조359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건설사 22곳, 해운사 4곳, 조선사 7곳의 회사채 만기 도래 상황을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회사채 상환 부담은 내년 상반기가 더욱 심각하다. 3대 취약업종의 내년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약 8조3700억원이다. 이중 6조300억원의 만기가 내년 상반기에 집중돼 있다.

3개 업종 중 회사채 상환 부담이 가장 큰 쪽은 건설이다. 주요 22개 건설사의 내년 1ㆍ2분기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4조660억원으로, 총 회사채 잔액 가운데 25.3%가 내년 상반기에 집중돼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내년 상반기에 35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고 한화건설(3800억원), 두산건설(2243억원), 한라건설(2300억원)의 상반기 상환 부담도 큰 편이다.

4개 해운사의 내년 상반기 회사채 만기 도래액도 9740억원으로, 올해 하반기(5950억원)보다 상환 압박이 더 크다. 다만 조선사의 경우 STX조선해양(2000억원), 한진중공업(5500억원), 삼호중공업(2400억원) 등 일부 기업에만 상환 일정이 집중돼 있어 업계 전반적인 부담은 다른 업종보다 양호한 편이다.

전문가들은 시간이 갈수록 만기 도래 회사채에 대한 취약업종의 대응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불투명한 업황과 채권금리 상승추세도 내년 상반기 회사채 상환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은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취약 업종의 기업들이 처음 회사채 만기가 도래할 때는 보유 자산 등을 팔아서라도 상환금을 마련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상환에 대응할 능력이 저하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이 회사채 신속인수제 등 회사채 시장 안정화 방안을 마련 중이지만 취약 업종의 자금경색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겠지만 업황 회복과 신용 리스크 해소가 수반되지 않는 한 일시적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