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정상대화록> 盧 임기말 ‘성과’ 집착...저자세 논란 불렀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정부가 발표한 성과에 대한 신뢰도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화록 내용과 노 전 대통령의 대국민발표문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내용이 상당부분 확인됐기 때문이다. 극도로 민감한 북방한계선(NLL) 문제는 일단 유보한 채, 당초 준비해간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상을 관철시키려다보니 ‘저자세’ 논란을 일으킬만한 발언이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2007년 10월 4일 노 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에서 회담과정과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가져갔던 보자기가 적어서 짐을 다 싸기가 어려울 만큼 성과가 좋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화록 내용과 당시 발표를 대조해보면 분명한 차이가 발견된다.


가장 민감한 북핵문제의 경우 김정일 위원장이 북핵폐기에 관한 분명한 의지를 밝혔다고 설명했지만, 대화록에서 김 위원장은 ‘핵’이란 단어조차 사용하지 않았다.

최대 성과로 자평한 서해평화지대 역시 대화록을 보면 북한의 반응이 미지근하다. 북한 내 조선산업단지를 건설하겠다고 제의해 황해도 해주 지역을 받아냈지만, 이를 서해평화지대로까지 확대하자는 데는 김 위원장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지금 서해문제가 복잡하게 제기되어 있는 이상에는 양측이 용단을 내러서 그 옛날 선들 다 포기한다. 평화지대를 선포, 선언한다. 그러고 해주까지 포함되고 서해까지 포함된 육지는 제외하고. 육지는 내놓고 이렇게 하게되면 이건 우리 구상이고 어디까지나, 이걸 해당 관계부처들에서 연구하고 협상하기로 한다”고 말했다.

이에 노 전 대통령은 “서해평화협력지대를 설치해 평과문제, 공동번영 문제를 일거에 합의하기로 하고 필요한 실무협의를 계속해 가면 내가 임기 동안에 NLL문제는 다 치유가 됩니다. NLL보다 더 강력한 것입니다”라고 몰아부쳤다.

하지만 결국 김 위원장의 답변은 “이걸로 결정된 게 아니라 구상이라서 가까운 시일내 협의하기로 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평화협력지대가 서부지대인데, 바다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그건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카면 실무적인 협상에 들어가서는 쌍방이 다 법을 포기한다. 과거에 정해져 있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북한은 자체 설정안 군사분계선을 남측은 북방한계선(NLL)을 동시에 포기하자’는 제안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는 부분이다.

여기에 노 전 대통령은 “예 좋습니다”라고 답해 ‘NLL 포기’논란의 단초를 제공했다.

이산가족 문제해결을 위한 성과도 부풀려진 측면이 발견된다. 노 전 대통령은 “이산가족 문제는 시급한 문제라는 데 김정일 위원장도 공감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화록에서 김 위원장은 우리 측 요구에 대해 대답을 얼머무린다. ‘공감’이라는 표현이 무색해진다.

한편 10월3일 정상회담 초반 김 위원장은 심드렁한 반응이었고, 이 때문에 노 전 대통령 측은 오후까지 집요하게 회담을 연장했다. 임기가 넉 달 밖에 남지 않은 노 전 대통령이 ‘성과’에 상당한 부담을 느꼈던 셈이다. 결국 참여정부가 발표한 10.4선언 결과 대부분은 오후 회담내용과 연관이 깊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