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조경제는 사실 창의경제” 국회 입법조사처, 창조경제에 ‘돌직구’
이원근 입법조사관, 정보소식지 ‘이슈와 논점’ 게재 보고서

“과학기술계서 창조는 ‘천지창조’ 등 과학과 상충되는 개념”

“미래부, 창조경제 실현 위해 조직 정비하고 자기 혁신해야”



[헤럴드경제=신상윤ㆍ손미정 기자]국회 입법조사처가 박근혜정부의 핵심 정책이자 국정철학인 창조경제에 대해 ‘돌직구’를 날렸다. 개념을 보면 ‘창조경제’라 아니라 ‘창의경제’가 맞는데, 용어 자체가 잘못 사용돼 일반 국민은 물론 공무원과 전문가 집단까지 창조경제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모호해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원근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입법조사처가 발행하는 정보 소식지 ‘이슈와 논점’ 6월 18일자에 게재된 보고서 ‘창조경제와 미래창조과학부의 당면과제’를 통해 이 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부가 출범했음에도 창조경제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실제로 지난 4월 미래부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창의재단, 현대경제연구원 등 3개 기관 전문가 6532명을 대상으로 창조경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창조경제가 이전 경제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의견이 과반수(55.5%)였다.

이는 ‘창의경제’를 ‘창조경제’로 잘못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창조경제를 번역한 영어 단어 ‘creative economy’ 중 ‘creative’는 과학기술계에서 통상 ‘창의(創意)’로 번역되고, 현 정부가 내건 창조경제의 개념에서도 ‘창의’가 핵심인데다, ‘창조(creation)’는 ‘천지창조’ 등 과학과 상충되는 개념으로 인식돼 과학기술인에게 창조경제가 낯설게 들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고서는 미래부, 그 중에서도 과학기술분야의 업무 개념이 바뀌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과학기술의 진흥을 넘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까지 책임지는 경제 부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미래부는 3년 이상 논의돼 온 과학기술계 거버넌스(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정보통신기술(ICT) 컨트롤타워 등을 뒤로 하고 세워진 거대 부처”라고 전제했다. 때문에 실행 시스템이 낮을 수 밖에 없는 미래부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당면과제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중장기적 성격의 과학기술과 단기적 성격의 ICT 간 불협화음과 에너지 분산을 막기 위해 단순한 물리적 결합을 배제하고 미래부의 업무와 조직구조를 재정비할 것을 주장했다. 또 사회를 뒤바꾸는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미래부 공무원 스스로 정책에 대한 전문성과 자기 혁신을 통해 ‘단기적 밀어붙이기 정책’을 지양하고,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