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크엔드] 天干 · 地支의 조합 ‘육십갑자’ 서 어원…과거 우열없던 갑을 지금은 상하 관계로
‘갑을’이란 말 어디서 생겼나
‘갑(甲)’과 ‘을(乙)’이란 말이 요즘처럼 많이 쓰인 때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갑을관계’가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런데 ‘갑을’이란 표현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갑을’이란 말은 육십갑자(六十甲子)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육십갑자는 하늘의 시간적ㆍ계절적인 기운의 흐름을 나타내는 천간(天干) 10개와 땅의 시간적ㆍ계절적인 기운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지(地支) 12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로, 지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라는 문자로 각각 표시된다.

‘임진년’처럼 해마다 붙여지는 이름과 사지선다에 기호로 사용되는 ‘갑·을·병·정’도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

육십갑자는 순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갑을’에도 우열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 이 말에 불쑥 우열관계ㆍ상하관계의 의미가 더해졌다. 계약관계에서 주도권이 있는 쪽, 예컨대 고용인은 ‘갑’이 되고, 종속되는 입장인 피고용인은 ‘을’이 됐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 갑을관계는 더 넓은 의미로 통용된다.

조직이나 사회에서 우위에 있는 쪽은 ‘갑’, 열위에 있는 쪽은 ‘을’로 일컬어지며 수많은 갑을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단순히 개인을 벗어나 ‘갑’은 사회적 강자, ‘을’은 사회적 약자의 대명사로 사용되며 상충되는 계층ㆍ집단을 의미하기도 한다.

김현경 기자/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