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양적완화 충격 줄이려면 특이정책 바꿔야”
한은 총재 경제동향 간담회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주요국의 양적완화로 풀린 유동성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면 다른 나라와 비교해 한국의 특이한 정책ㆍ여건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19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글로벌 유동성이 움직일 때 어느 나라는 세게 부딪치고(영향을 크게 받고) 어떤 나라는 덜 받는다”며 “세게 경험하는 나라들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안 맞거나 정책이 특이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요한 것은 한국 특유의 유인을 (없애 유동성을) 막을 준비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비정상적인 현실 속에서 한은의 임무와 기대치, 이론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며 “통화정책에는 여러 정의가 있고, 그런 것들은 전통적 상황에서 맞는 것이며, 각국 중앙은행마다 규정이 명확한 멘데이트(고유임무)를 갖고 있어 하나로 정의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양적완화,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한 한국의 대처 방법을 물을 때 정답은 ‘이를 한 나라가 막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라며 “국제적 공조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선진국의 양적완화로 세계 금융시장에 풀린 유동성이 세계 무역규모의 5~6배가량 될 것으로 추산했다.

김 총재는 18~1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어떤 이야기를 하든 세계 시장이 많이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