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폐앞둔 기업…정보없어 매수…개미만 피눈물
상장폐지가 임박한 기업의 주식을 사들여 피해를 입었던 투자자는 대부분 정보력이 약한 개인투자자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정보력이 강한 외국인과 기관은 일찌감치 주식을 팔아치웠고, 대주주는 보유 지분을 줄이는 방식으로 주주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

한국증권학회는 19일 박진우 한국외대 경영학부 교수 등이 지난 2003∼2012년 10년간 상장폐지된 232개 기업의 투자자별 매매실적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 기업의 경우 개인투자자는 상장폐지 이전 1년 동안 발행주식 수 대비 평균 9.82%의 순매수를 보였다. 이에 반해 기관과 외국인은 3.12%와 2.15%씩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개인은 상장폐지 1년 전부터 8.50%를 순매수한 것과는 반대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24%와 3.57%씩 순매도를 보였다.

상장폐지 전년도 말 기준으로 해당 기업들의 1% 미만 소액 개인투자자 지분율이 54.91%(유가증권시장)와 60.06%(코스닥시장)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부분 피해가 개인에게 돌아간 셈이다.

연구진은 상장폐지 이전 3년간 대주주 지분율 변화도 분석했다. 이 기간에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 기업의 대주주 지분율은 30.35%에서 23.45%로 6.90%포인트 줄었다. 특히 코스닥 상장폐지 기업의 대주주 지분율은 28.70%에서 18.39%로 10.31%포인트나 감소했다.

회사 내부사정을 잘 아는 대주주가 상장폐지 가능성에 대비해 보유 지분을 처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대주주의 기회주의적 행태로 인한 최대 피해자는 개인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인투자자 보호라는 취지 아래 도입한 상장폐지제도를 개선해 상장폐지 이후에도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박 교수는 “상장폐지에 따른 엄청난 손실이 대부분 정보 열위에 있는 개인에게 집중돼 소액 개인투자자를 보호한다는 상장폐지제도의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면서 “상장폐지 이후에도 주식의 유동성을 확보해 충격을 완화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도경 기자/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