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깜깜이 회담? “남북, 항상 그래왔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남북 당국회담이 불과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12~13일 서울 그랜드호텔에서 개최한다는 시간과 장소만 정해졌을 뿐 누가 참석할지, 무엇을 논의할지는 여전히 안개속이다.

당초 장관급회담을 목표로 출발했던 회담은 북한이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참석을 요구한 우리측 요구에 난색을 표명하고, 청와대가 북한 수석대표 수준에 맞춰 류길재 통일부 장관보다 급이 낮은 인사를 내보내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장관급’ 레벨이 유지될지 불투명해졌다.

남북은 의제에 있어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해 실무접촉에서 공동합의문이 아닌 각각의 입장을 반영한 발표문을 따로 내놓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대표도, 의제도 모르는 ‘깜깜이 회담’이라며 벌써부터 기대를 걸기 힘들다는 비관적 전망마저 나오는 형편이다. 실무선에서 모든 것을 조율한 뒤 회담이 열리면 대표가 큰 틀의 합의를 하는 통상적인 외교관계에서 크게 벗어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남북관계의 특수성이나 남북대화의 어려움을 간과한 성급한 단정이라는 지적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일주일도 안되는 준비기간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일은 아니다”며 “의제는 회담장에서 서로 하고 싶은 얘기를 제기하겠다는데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느냐. 회담이 시작되면 자연스럽게 모든 의제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남북대화의 어려움은 지난 2000년 6·15 공동성명에 합의하고도 서명 당사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직함을 ‘국방위원장’으로 할지 ‘당비서’로 할지 남북이 실랑이를 벌였다는 점이나 지난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만남은 확정되지 않은 채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먼저 만났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한 대북 전문가는 “북한은 과거에도 회담 직전에야 대표단 명단을 공개하고 심지어 막판에 바꾸기도 했다”며 “의도적인 기싸움 차원일 수도 있지만 내부적으로 대표단 구성을 어떻게 할지 그만큼 공을 기울인다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이어 “남북간 남북교류협력사무소 등 기본적인 대화채널이 구축되지 못해 의견을 주고받는데 한계 있다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