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형만 공급 · 청약기준 강화…공공주택 당첨 더 어려워진다
앞으로 공공 분양·임대주택에 당첨되기가 더 어려워질 것 같다. 공급 물량은 소형으로 줄어들고 청약 기준은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보금자리주택 업무처리지침(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으로 변경 예정)’을 개정해 3일부터 공공분양주택을 60㎡ 이하 소형으로만 공급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4ㆍ1 부동산종합대책의 후속조치로 공공분양주택을 민간물량 공급이 많은 중대형으로 짓지 않고 소형으로만 공급하기로 했다.

국민임대주택은 건설가구 수의 30% 이상을 1~2인가구를 위한 ‘원룸형’으로 짓도록 했다. 또 영구ㆍ국민임대주택이 300가구 이상인 단지에는 입주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 입주 공간을 만드는 등으로 입주민의 자립기반을 돕도록 했다. 기존엔 500가구 이상 영구임대주택 단지에만 사회적기업을 유치했다.

보금자리주택은 노인ㆍ장애인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하고, 도시형생활주택은 ‘배리어 프리(barrier free·장애물 없는)’ 시설로 공급하도록 했다.

청약 자격은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공공분양·임대주택을 받기 위한 소득·자산 기준을 현행보다 대폭 강화해 이르면 9월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청약자격 기준으로 현재 검증 대상에서 빠져 있는 금융소득(이자 및 연금소득)을 포함시키고, 자산 기준도 현행 부동산·자동차 외에 금융자산과 전월세 보증금·선박·골프 및 콘도회원권 등을 새로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복지급여 대상자 검증용으로 사용하는 보건복지부의 복지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박일한 기자/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