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금융제재 불똥 엉뚱한 데로 튀었다.. 국제구호단체 송금 못 받아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북한 금융 제재의 불똥이 엉뚱한 데로 튀었다.

북한에서 구호 활동을 하는 국제구호단체의 송금이 끊겨 이들이 자금난에 빠졌다. 대부분 유럽계인 이들 단체를 돕기 위해 EU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7일 중국의 국유 상업은행인 중국은행이 북한의 핵심 외환취급 기관인 조선무역은행과 거래를 끊으면서 외국에서 북한으로 들어오는 기금 이체가 중단됐다고 23일 북한 내 구호단체 관계자들이 밝혔다.

이 때문에 일부 단체는 수개월 버틸 돈만 남을 정도로 자금난이 심각하고 일부 활동가들은 중국 등에서 직접 현금을 반입하는 임시방편을 쓰고 있다고 이들은 전했다.

북한 내 국제 구호단체와 유엔 기구들은 주로 중국에서 운영자금을 송금하고 나서 조선무역은행을 거쳐 돈을 받는다. 북한 당국은 이런 송금 때 조선무역은행만 쓰도록 강제하고 있다.

조선무역은행은 지난 3월 미국에 의해 북한의 ‘돈줄’로 지목된 제재 대상이다.

중국은행의 거래 중단은 중국 정부의 대북 제재 동참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중국 내 다른 은행도 조선무역은행과 거래를 꺼리고 있다.

북한에서 상시로 활동하는 국제 구호 단체는 6곳으로 세이브더칠드런(영국)과 세계기아원조(독일) 등 모두 유럽계다. 이들은 아동 급식, 자연재해 방지, 빈곤 퇴치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유엔 산하 기구인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세계식량계획(WFP)도 북한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세계기아원조의 마티아스 모게 국장은 “평양에 있는 모든 단체와 기구가 타격을 받았고 다들 걱정이 크다. 북한 구호 사업이 축소되거나 없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EU 유럽집행위원회와 평양 주재 EU 외교관들은 인도적 구호활동에 쓰이는 자금에 한해 대북 송금을 허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EU는 아직 조선무역은행에 대한 제재를 내리지 않았지만 이미 프랑스 등의 일부유럽 은행은 북한으로의 송금을 거부하고 있다. 구호단체들은 이번 사태가 길어지면 기부자 이탈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유엔기구들은 조선무역은행 외의 다른 북한 은행의 계좌로 송금을 받는 방안을 북한 당국에 요청했으나 거부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무역은행은 지금까지 미국, 일본, 중국의 제재를 받았으며 호주도 조만간 이 은행에 제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