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타의추종 불허하는 애플의 창의적 절세방법.. 세금 수십조원 아껴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애플이 해외에서 유령 지사망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수십조원에 이르는 세금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애플의 세금 회피가 불법은 아니지만, 세계 1위 IT기업이 꼼수를 부려 법망을 교묘히 피한 데다, 역사상 전례가 없는 대규모로 자행된 것이어서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20일(현지시간) 애플에 대한 의회 상원 조사에서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아일랜드에 지사를 만드는 방법으로 미국 국세청으로부터 740억달러(한화 82조4730억) 상당의 수익에 대한 과세를 피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사는 종업원이나 사무실이 없는 가상의 지사였다.

WP는 이런 식으로 해외에 지사를 만들어 미국 국세청의 눈길을 피하는 방법은 다국적 기업 사이에서 흔히 있는 일이고 합법적인 행위지만, 애플의 세금 회피 계획은 규모나 방법 면에서 역사상 전례없이 대규모로 자행됐을 뿐 아니라 대단히 창의적인 기법이 도입된 사례라며 집중 조명했다.

애플이 만든 가상의 해외 지사의 목적은 해외 매출액을 줄여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세금을 피하는 것, 단 하나였다.

해외 지사 중 한 곳은 2009~2012년 사이에 300억달러의 수익을 신고하고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 다른 지사의 경우 2011년 220억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수익액의 0.05%의 세금을 낸 적도 있었다. 미국에서 수익의 35%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히 천문학적 수준의 세금을 줄인 것이다.

신문은 세계 최대 가치를 지닌 기업인 애플의 의회 조사를 통해 다국적 기업들이 어떤 식으로 법망을 교묘히 피해 가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 최고경영자 팀 쿡은 21일 예정된 의회 조사에서 자사의 세금 문제에 대해 격렬한 어조로 변호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애플이 세금 문제에 있어 어떤 불법적인 행동도 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는데 중점을 둘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아일랜드에 세운 지사 때문에 연구ㆍ개발(R&D)에 더 투자할 수 있어 아시아와 유럽 시장으로 확장하기가 더 용이했고, 결국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됐다는 설명도 곁들일 예정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