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단거리 발사체…美 · 日등 자극않고...南엔 도발 다목적탄…사거리 최대 170㎞ 방사포 가능성
사거리 최대 170㎞ 방사포 가능성
북한이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군사적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면서도 유엔 제재를 피하겠다는 다목적 포석으로 보인다.

북한은 18일과 19일 이틀에 걸쳐 단거리 발사체 4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18일 오전에 2발이 발사된 데 이어 오후 1발이 발사됐고 19일 오후 3시께 다시 1발이 발사됐다.

당초 우리 정부는 북한이 발사한 무기체계를 최대 사거리 160㎞의 단거리 미사일 KN-02로 보고 ‘유도탄’으로 발표했으나, 북한이 새로 개발한 300㎜ 신형 방사포일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발사체’로 수정했다.

이번 발사는 북한이 중장거리 미사일(IRBM) 무수단을 철수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미국이 동해상에 배치했던 이지스함을 다른 훈련에 참가시키는 등 경계태세를 완화하는 가운데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북한의 도발은 다분히 대남 압박카드로 여겨진다. 단거리 발사체는 미국 본토나 괌 기지, 일본에 도달할 수 없어 미ㆍ일 양국의 반발을 피하면서 관심은 끌 수 있다. 통상적인 부대 차원의 훈련이라고 설명하기도 용이하다.

우리 정부는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최소 100㎞에서 최대 170㎞로 수도권뿐만 아니라 평택 미군기지까지 공격할 수 있어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 특히 개성공단 완제품과 원부자재 반출 협상을 두고 북한과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는 정부로서는 북한의 작은 도발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긴급 성명을 통해 “북한은 유도탄 발사 등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원부자재ㆍ완제품 반출 등 투자기업의 자산 보호에 대한 국제기준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북한 측도 이러한 점을 노려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자 이번 발사를 감행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원호연 기자/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