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18 왜곡에 5월 단체 '분노'
[헤럴드생생뉴스]5·18 민주화운동 33주년을 앞두고 일부 방송사들이 ‘북한 특수부대 개입설’ 등 편향된 내용의 방송을 내보내 5월 단체 등의 분노를 사고 있다. 관련 단체들은 기념식을 치른 뒤 ‘공식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신경진 5·18 부상자회장은 17일 “수차례 재방송까지 하면서 5·18 왜곡과 폄훼에 앞장선 언론은 자격이 없다”며 “민주당에서 해당 종편에 대한 제재를 요구했지만정부와 국가보훈처가 그전에 방송 심의 제도 등을 통해 엄중하게 제재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5·18 기념재단과 구속부상자회·부상자회·유족회 등 5·18 관련 3단체도 일부극우세력의 5·18 왜곡에 방송까지 동참하고 있다며 기념식 이후 정부에 대책을 촉구할 방침이다.

오재일 기념재단 이사장은 “5·18 왜곡 현상이 종편에서 점점 공개적, 노골적으로 나오는 상황을 방관하는 정부도 책임이 있다. 언론의 자유도 있지만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심각한 잘못”이라며 “정부의 태도를 지켜보고 5월, 시민 단체와 적극적으로 대응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도 묵과하지 않을 기세다. 광주진보연대 김은규 사무처장은 “법적인 대처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한국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전반적인 내용에 대처하는 기구를 만들고 종편의 편향성에도 정식으로 문제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TV조선은 지난 13일 ‘장성민의 시사탱크’에 북한 특수부대 장교 출신 탈북자를 출연시켜 북한군 1개 대대(600명)가 광주에 침투했으며 시민군이 아닌 북한에서 내려온 게릴라가 광주시청을 점령했다는 주장을 다룬 방송을 내보냈다.

채널 A는 한 술 더 떠 15일 5·18 당시 광주로 남파된 북한군 출신 탈북자를 출연시켜 북한에서 특파된 특수부대가 광주 시민군에 섞여 게릴라전을 했다는 주장을 그대로 내보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