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갑의 횡포’에 뿔난 지역상인들...신세계 김해여객터미널개발, 상생협약 무시한채 건축추진 ‘물의’
[헤럴드경제=윤정희(김해) 기자] ‘갑의 횡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김해시의 옛 여객터미널을 재개발하면서 ㈜신세계가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협약을 뒤로한채 백화점과 이마트 건축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8일 김해시와 신세계측 김해여객터미널 복합개발 계획에 따르면 김해시 외동에 여객터미널을 신축하면서 3만9600㎡ 규모의 백화점과 9900㎡ 규모의 이마트 건립이 추진된다. 신세계측은 5월중으로 이같은 계획을 골자로 한 건축허가신청서를 김해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로써 김해여객터미널을 포함한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은 이르면 오는 6월께 착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세계는 김해시 외동 7만4200㎡ 부지에 3000억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5층 규모로 백화점, 이마트, 영화관, 문화센터, 여객터미널 등의 신축에 들어간다. 신세계측은 당초 여객터미널 부지에 이마트와 영화관을 입점시킬 계획이었으나, 전통시장상인회 등의 반대에 부딪히자 2만2700여㎡의 이마트 매장을 9900㎡로 60% 축소하는 대신 백화점과 다목적 홀을 포함한 문화센터를 건립하기로 개발 계획을 바꿨다.

신세계측은 건축허가를 받으면 바로 착공에 들어가 여객터미널은 내년 상반기 먼저 열고, 백화점은 2015년 상반기 개점할 계획이다. 또 여객터미널 복합개발이 이뤄지면 2800여명 신규고용 창출과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 하루 1300여명의 경전철 이용객 증가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신세계측의 건축 강행의사와 함께 김해시의 입장도 180도 돌아섰다. 김해시가 옛 여객터미널부지를 매입한 신세계측에 대형마트 건축허가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알려져 시민들의 공분을 사자 인근 외동시장 상인들과의 상생협약을 우선 요구해왔다. 하지만 최근 김해시는 신세계측이 건축허가 신청서를 제출하면 “양측간 원만한 상생협약이 이뤄지는 것이 좋지만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유통산업발전법이 정한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이같은 입장변화는 지난 3월 신세계센텀시티점 개장 4주년을 기념해 신세계 임원진들이 대거 부산을 방문하면서부터 감지됐다.

상황이 급격히 바뀌면서 김해 외동시장 상인들의 분위기도 격앙됐다. 외동전통시장상인회는 신세계 측이 상생협약을 하지 않고 건축허가를 신청한다면 행정소송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저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또 인근 전통시장, 소규모 거리 점포 등에서도 백화점 입점으로 연쇄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있어 터미널사업이 착공되기까지 상당한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