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개성공단 전력공급 평소 10% 수준으로 줄어...단전은 안할 듯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개성공단이 잠정중단된 가운데 남측에서 북측으로 송전되던 전력도 평소보다 1/10정도로 줄어든 최소한의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6일 오전 브리핑에서 “조명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최소한의 전력이 가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한전 직원이 돌아와서 현재 관리인력이 없다”면서도 “물리적으로는 전기가 흘러가는데 결정적 장애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남측은 이전까지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6㎞의 154㎸ 송전선로를 따라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내왔다.

평화변전소의 총용량은 10만㎾ 수준이지만 평상시 3~5만㎾의 전력만 보내왔다. 현재는 이의 1/10인 3000㎾ 안팎 수준의 전력만이 개성공단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다.

이는 일반 가정용으로 치면 3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전력공급량이 줄어든 것은 남측 당국의 의도적인 축소라기보다는 개성공단이 잠정중단에 들어가면서 수요량이 줄어든데 따른 측면이 강하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4월 27일부터 줄였다. 공단의 정상운영이 안된 게 한달 정도 됐다”며 “많은 양이 필요 없어 송전이 아닌 배전 방식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7명이 무사귀환한 뒤 종합적으로 상황을 검토해 단전 등의 조치를 검토한다는 방침이었지만 현재까지는 단전·단수는 하지 않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