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급차 생산방식 적용한 삼성 스마트에어컨 … 생산25%↑ 불량률 50%↓
[헤럴드경제 = 홍승완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부터 에어컨 생산공정 도입한 모듈생산방식모듈생산방식(MPS, Modular Production system)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생산성이 크게 늘고, 불량률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4일 “지난 1월부터 스마트에어컨 Q9000의 생산라인이 있는 광주 사업장에 새롭게 적용한 모듈생산방식이

도입 1분기만에 안정화에 성공해 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에 비해 인당 생산대수는 25%가 증가했으며 불량발생률은 5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생산성 증가와 품질 향상이란 일석이조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성과는 기존 컨베이어벨트 방식이 대형 가전 생산에 있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통념을 뒤엎는 결과이다. 컨베이어벨트 생산방식은 작업자가 움직이는 벨트 위의 세워져 있는 제품을 따라가며 조립하는 방식이다. 반면 삼성전자가 도입한 모듈생산방식은 정지상태에서 제품을 눕혀 놓고 작업 후 다음 생산 공정으로 넘어가는 구조다. 정지중에 작업을 하는 만큼 꼼꼼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삼성전자가 올해부터 에어컨 생산라인에 도입한 모듈생산방식이 생산률 25% 상승, 불량률 50% 감소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생산직원이 2인 1조를 이뤄 에어컨을 조립하고 있다.

그런가운데 생산성을 25% 이상 끌어올리고, 기존 생산 방식에서도 낮았던 불량 발생률을 50%이상 추가로 낮춘 것은 혁명적이라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품질 강화를 위해 품질 검사 셀(Cell)을 대폭 증설해 검사시간을 단축시켰다. ‘조립 후 검사’와 ‘출하 전 외관검사’ 등 검사체계도 강화했다.

장시호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전무는 “모듈생산방식은 최고급 명품 자동차 생산에서나 적용되었던 생산방식”이라며 “삼성 스마트 에어컨 Q9000도 명품에어컨으로 불려도 손색없을 정도로 품질을 끌어 올렸다”고 자평했다.

삼성전자는 여름철 에어컨 판매 성수기 대비와 함께 전년대비 3배 이상 성장세를 보인 에어컨 예약판매 등 호황에 힘입어 에어컨 생산라인을 지난 15일부터 풀가동하고 있다.

swan@heraldcorp.com


삼성전자가 올해부터 에어컨 생산라인에 도입한 모듈생산방식이 생산률 25% 상승, 불량률 50% 감소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생산직원이 2인 1조를 이뤄 에어컨 외관검사를 하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