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투자활력 촉진? 시장혼란 초래?…‘양날의 칼’공매도 논란가열
최근 17거래일간 공매도 비율 평균 10.5%
거래금액 전체의 18%인 888억 육박

롯데하이마트 누적비중 18.21% 최고수준
현대상선도 실적부진 맞물려 주가 ‘반토막’

KRX ‘공매도 제한규정’ 실효성 의문 여전
당국 실시간 모니터링 등 견제장치도 미비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지분 매각’이라는 극단의 카드를 꺼내들어 비정상적인 공매도를 규제하지 않는 정부 당국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공매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공매도’란 주가 하락을 예측하고 높은 가격에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싼 가격에 다시 매수해 그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기법이다. 불법은 아니지만 일부 세력이 유언비어나 악의적 소문으로 해당 회사의 주가를 떨어뜨린 뒤 막대한 수익을 노리는 경우가 있어 공매도가 금융시장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특히 최근 들어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량 중 공매도 비중이 점점 높아지면서 논란이 확대될 전망이다.

▶공매도 상위 롯데하이마트 영원무역 현대산업 등…제2의 셀트리온?=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최근 17거래일 동안 공매도 비율이 평균 10.5%였고 최근 6거래일 동안은 평균 16.6%에 달했다. 15일 하루 동안 전체 거래량의 공매도 비율은 23.87%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롯데하이마트가 올해 들어 가장 많은 공매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증권에 따르면 연초 이후 이달 15일까지 롯데하이마트의 누적 공매도 비중(수량기준)이 18.21%로 가장 높았다. 전체 누적거래량인 693만7346주 가운데 126만3575주가 공매도 거래였다. 전체 거래금액의 17.89%인 888억6580만원이 공매도 관련 금액이었다.

영원무역이 공매도 비중 16.59%로 2위에 올랐고 ▷현대산업 15.47% ▷대우건설 15.12% ▷현대상선 13.83%로 뒤를 이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셀트리온(6.24%)에 이어 ▷OCI머티리얼즈 4.62% ▷다음 4.45% ▷에스에프에이 4.37% ▷파라다이스 3.99%의 순으로 공매도 비중이 높았다.


특히 현대상선은 실적 부진과 공매도 공세가 맞물리면서 같은 기간 주가가 54.07% 폭락, 반토막 났다. 대우건설과 OCI머티리얼즈도 각각 22.07%, 14.99% 하락했다.

이경수 신영증권 연구원은 “공매도가 증가하는 종목은 항상 주의해서 관찰해야 한다”면서 “지수와 상관없이 공매도가 증가하는 경우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매도 이대로 좋은가=공매도는 주식이 없는 상태에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기에 수익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문제는 공매도에 작전세력이 개입되는 경우다. 차익을 얻기 위해 작전 세력이 근거 없는 악성 소문을 시장에 퍼뜨려 해당 기업의 주가 하락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셀트리온 역시 그동안 공매도 세력에 의한 악성 루머에 시달렸다. 분식회계설은 물론 서 회장의 도주설, 임상실패설 등이 대표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공매도 자체가 합법적인 매매수단이라는 데는 동의한다”면서도 “하지만 공매도가 루머 유포 같은 인위적인 가격 낮추기와 연동되면 문제가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개별종목의 공매도가 거래대금의 3%를 초과하는 경우 금융위원회 승인을 얻어 공매도를 제한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지만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주가 급락 시마다 공매도 일시금지 조치를 내렸지만 사실상 시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공매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안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공매도 거래를 체결한 증권사가 해당 내역을 금융당국에 신고한 뒤 공매도 통계가 집계될 뿐 한국거래소 시스템상 실시간 공매도 거래 내역은 확인되지 않는다. 결국 특정 창구에서 공매도가 집중될 경우 이를 견제하는 장치나 제도는 ‘뒷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공매도를 아예 금지시키자는 과격한 주장도 나온다. 증권사 관계자는 “단순히 공매도를 규제하는 것만이 해결책이 되진 않을 것”이라며 “증시 체력과 시장 신뢰를 확보하는 작업이 공매도 폐해를 줄이는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세환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