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기 신도시 중대형의 몰락…6년새 몸값 28조원 추락
[헤럴드경제 = 윤현종 기자] 1기 신도시 시가총액이 6년 전 최고점대비 28조원 이상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대형의 시가총액 하락 비중은 83%에 달했다.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4월 2주(4월 12일) 현재 1기 신도시 총 27만7019가구의 시가총액은 106조7713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7년 4월 2주 135조178억 원과 비교해 28조2465억원 낮아진 규모다.

고점대비 감소한 1기 신도시 시가총액 28조2,465억 원 중에는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 시가총액 하락 비중이 약 83%(23조3406억원)에 달해 몸값 폭락현상을 주도했다. 반면 중소형(전용면적 85㎡ 이하) 시가총액 하락 비중은 13%(4조9059억원)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분당이 가격하락을 이끌었다. 2007년 4월 당시 40조1570억원이었던 분당 중대형의 시가총액은 현재 13조3347억원 내려간 26조8223억원으로 조사됐다. 일산 중대형은 4조2852억원 하락한 8조7507억원으로 2위에 랭크됐다. 평촌(2조4500억 원 감소), 산본(1조6877억원 감소),중동(1조5831억원 감소)신도시의 중대형이 뒤를 이었다.

중소형 시가총액도 분당의 낙폭이 가장 컸다. 분당 중소형 시가총액은 2007년 4월에는 23조6524억 원이었으나 현재 3조2086억 원 빠진 20조443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일산 중소형은 1조7836억원 내려간 11조150억 원으로 1조원 넘는 하락폭을 보였다. 


그러나 1기 신도시 가격 전망이 계속 비관적인 것은 아니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기 신도시는 아파트 노후화를 제외하면 서울 접근성이나 인프라 측면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1기신도시의 경우 4.1부동산대책에서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허용하는 방안이 포함되며 가격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따라서 리모델링 규제가 얼마나 완화되고 언제 시행될 것인지가 향후 가격 반전의 중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