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엔저’ 공습이 한국 수출 발목잡나…주력수출품 줄줄이 추락
[헤럴드경제=박수진]석유제품, 자동차 등 일본과 경쟁하는 우리나라 주력수출품 10개 중 4개 분야의 수출증가율이 지난 1~2월께 마이너스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부터 심화되고 있는 엔저 현상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15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한국과 일본이 세계 시장에서 경합하는 49개 수출품 가운데 절반인 24개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49개 경합 품목은 세계관세기구(WCO)가 분류하는 ‘HS코드 6단위’ 기준으로 한국과 일본의 수출 상위 100대 품목과 겹친다. 이들 품목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금액 기준)에서 51.4%의 비중을 차지한다.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24개 품목 중 21개(전체 42.8%)는 지난 해까지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올 해 돌연 마이너스로 급락했다. 작년에 비해 수출증가율이 크게 둔화한 품목도 10개에 달했다.

품목별로는 우리나라 10위권내 주력 수출품이면서 일본과의 경합도가 큰 석유제품ㆍ자동차ㆍ기계류 등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1위 품목인 석유제품은 수출증가율이 작년 43.9%에서 올해 -0.7%로 급락한 반면 일본은 -41.8%에서 4%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자동차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디젤 중형승용차의 경우 한국은 작년 59.5%의 수출증가율을 보였지만 올해에는 -11.8%로 뚝 떨어졌다. 일본은 반대로 -36.3%에서 12.3%로 급상승했다.

수출 7윌 품목인 자동차 부품 역시 차량용 기어박스 144.8% → 8%, 엔진용 부품 87.2 → 43.5%, 차량용 차체 부품 84.6% → 34%, 제동장치(부품 포함) 24.9% → 17.2% 등으로 힘이 빠지는 사이 일본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상승세를 탔다.

지난 해 말부터 급속히 진행된 엔저 현상이 국내 수출품에 본격적으로 타격을 주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석유제품, 자동차 등 주력 수출품의 경우 일본과의 경합도가 커 엔저에 따른 수출 감소의 타격이 더욱 클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무협 관계자는 “엔저가 더욱 속도를 낼 경우 그나마 힘겹게 제자리를 지켜오던 전기전자 등 일부 수출품도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j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