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개성공단 입주기업 "준재난지역 선포’ 호소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이 정부에 ’준 재난지역으로 선포’에 집중해줄 것을 호소했다.

입주기업들은 개성공단포럼, 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등이 13일 낮 중앙대 R&D센터에서 연 ‘위기에 처한 개성공단, 어떻게 살릴 것인가?’ 긴급토론회에서 현재 판매가 기준으로 400억∼500억원의 손해를 보고 있다며 이같이 토로했다.

이 날 토론회에서 유동옥 개성공단기업협회 고문은 “바이어가 견딜 수 있는 기간은 이제 일주일이다. 태양절(김일성 생일·4월15일)이 끝난 이후에는 바이어의 이탈을 수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입주기업인의 어려움을 털어놨다.

이에 대해 대북 관계 전문가들은 남북 간 대화와 입주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의 해법을 제시했다. 또 개성문제를 분리해 별도로 남북대화가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박사는 “개성공단 문제에 한해서만 남북 고위급 회담을 하자고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박사는 “판문점이 어렵다면 베이징에서라도 개성공단 문제를 두고 원 포인트 회담을 하자고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화 한국산업단지공단 실장은 “많은 업종이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인데 반해 개성공단만 통일부 소속으로 돼 있다”며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정경(政經)을 분리한다면 정치는 통일부가 하되 경제 부문은 자금 지원 등을 관장하는 곳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상준 국토연구원 박사는 “개성공단이 정상화된 이후의 문제도 생각해봐야 한다.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안전장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