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엔카 “현대ㆍ기아 리콜사태, 중고차 시세엔 영향 미미”
[헤럴드경제=김대연 기자]‘현대ㆍ기아차 승용자동차 6개 차종 국내 16만 2509대에 리콜, 도요타ㆍ혼다ㆍ닛산 글로벌 시장 약 340만대 리콜’

대규모 리콜 사태는 중고차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2일 중고차 전문기업 SK엔카에 따르면 리콜은 사안에 따라 중고차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랐다. 리콜을 야기한 부품이 성능과 안전에 얼마나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가에 따라 시세 하락폭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번 현대ㆍ기아차 대규모 리콜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결함으로 인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제동 등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 불량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진행됐다. 이 경우 엑셀레이터 페달을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유지시켜 주는 크루즈 컨트롤(정속주행장치)과 차량이 흔들리지 않게 차체를 바로잡아 주는 차체자세제어장치(VDC)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함이 브레이크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SK엔카 마케팅부문 최현석 부문장은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고 성능이나 안전에 치명적인 결함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돼 중고차 시장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특히 리콜 대상에 포함된 아반떼, 싼타페, 쏘렌토 등은 중고차 시장에서 인기가 많은 차종이기 때문에 시세 또한 거의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르노삼성은 지난 2011년 3월 실내 좌석 내장재가 안전기준에 미달해 화재 발생 때 전파 속도가 빨라 피해를 확산할 우려가 있어 SM3 리콜에 들어간 데 이어 4월 에어백 제어장치 불량으로 운전석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SM3 및 SM5에 연이어 리콜을 실시했다. 이 경우에는 리콜이 안전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당시 SM3와 SM5 중고차 시세는 100만원 이상 큰 하락세를 보였다.

국산차가 리콜 원인에 따라 중고차 시세 하락 폭이 다른 것에 비해 수입차는 리콜에 더욱 민감하다. 이는 수입차는 국산차보다 브랜드의 이미지가 차를 구입하는데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010년 렉서스ㆍ도요타 등 일본 수입차의 대량 리콜 사태가 벌어졌을 때 중고차 시세가 1주일 만에 최대 400만원까지 떨어지는 유례 없는 폭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렉서스는 가속페달과 관련된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결함이어서 그 파급이 더욱 컸다.

수입중고차의 감가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가 브랜드 이미지인 만큼 대규모 리콜 사태를 일으킨 브랜드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기 쉽다.

이에 대해 최 부문장은 “자동차는 수만 가지의 부품으로 조립되어있어 기계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도 리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며 “제조사도 기계 결함을 인정하고 자발적 리콜을 통해 차량 성능을 개선하고 신뢰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