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선을 넘어선 무선…‘영화 한편 다운로드에 43초’ SKT, 150Mbps 제공하는 LTE - A 서비스 9월 상용화
[헤럴드경제=류정일 기자] SK텔레콤이 오는 9월 유선보다 빠르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를 상용화한다.

SK텔레콤은 10일 국내 최초로 LTE-A 망 개통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술개발 및 망 적용이 순조로워 단말기만 출시되면 즉시 상용화할 계획이다.

LTE-A는 현재 LTE에서 한 단계 더 진화된 현존하는 가장 빠른 이동통신 기술로 최대 150Mbps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기존 LTE보다 2배, 3G 보다 10배 빠른 속도이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이용하는 유선의 광랜(100Mbps)보다 빠르다.

LTE-A를 이용하면 800MB 상당의 영화 한편을 다운로드 받는데 43초면 충분하다. 3G는 약 7분24초, LTE는 약 1분25초, 유선(광랜 100Mbps)은 1분4초가 소요된다.

 
SK텔레콤은 10일 국내 최초로 LTE-A 망 개통에 착수했다고 밝히고 스마트폰을 통해 기존 LTE보다 2배 빠른 서비스를 시연했다. 오는 9월 상용화를 앞두고 경기도 광주에서 SK텔레콤 직원들이 LTE-A 망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

무선 데이터 통신의 유선 속도 추월, 즉 ‘골든크로스’는 유무선 통신역사상 최초로 SK텔레콤이 스마트폰을 통해 금년 중 상용화할 경우, 전세계적으로도 최초의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권혁상 SK텔레콤 네트워크 부문장은 “SK텔레콤은 2세대 CDMA, 3세대 WCDMA(HSDPA), 4세대 LTE네트워크 모두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한 데 이어 LTE-A망도 최초로 상용화하는 쾌거를 눈 앞에 두고 있다”며 “LTE는 향후 상당 기간 무선통신의 핵심 네트워크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 ICT의 핵심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사명감으로 LTE-A 최초 도입에 머물지 않고 더욱 빠르고 스마트한 네트워크로 진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LTE-A 기술의 핵심은 CA(Carrier Aggregation)로 상이한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연결대역처럼 광대역화 한다. 이미 지난 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CA를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을 통해 선보여 글로벌모바일어워드(Global Mobile Awards)에서 ‘최고 LTE 공헌상’을 수상한 바 있다. 


LTE-A의 연내 상용화를 목표로 SK텔레콤은 CA의 전제조건인 멀티캐리어(MC)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서울 및 광역시 주요 지역과 전국 158개 대학가에 MC망을 구축했으며 올해 상반기 완료를 목표로 전국 시 단위 주요 번화가 등 주요지역으로 MC망을 확대 구축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전국의 모든 MC망을 LTE-A 망으로 업그레이드 해 최단 시간 내 가장 많은 지역에서 ‘2배 빠른 LTE’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LTE-A 상용화로 자동차, 의료, 교육, 금융, 기업 업무용 솔루션 등 다양한 산업군과 연계된 보다 풍성한 융복합 모바일 생태계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정일 기자ryus@heraldcorp.com



<800M 영화 한편 다운받는 데 걸리는 시간>



-3G 7분 24초

-LTE 1분 25초

-유선 광랜 100Mbps 1분4초

-LTE-A 43초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