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日 장기존속 기업’ 보고서

능력 위주 후계자 선정 및 비윤리적 기업에 대한 철퇴 등 일본 장기존속 기업의 장수 비결이 국내 기업에 교훈이 될 수 있다는 보고서가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강조되는 ‘경제민주화’와 비슷한 맥락이어서 눈길을 끈다.

25일 한국은행의 ‘일본 장기존속 기업의 경제ㆍ사회적 위상 및 경영전략’ 보고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장수를 위해 중소ㆍ대기업 후계자 지정과정에서 가족ㆍ친족에 특별혜택을 부여하는 관행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일본 경제가 1980년대 극심한 엔고와 1990년대 ‘잃어버린 10년’에서 벗어난 것은 장기존속 기업의 역할이 컸다고 평가했다.

창업 200년을 넘은 기업은 57개국 총 7212개가 있으며 이 가운데 일본이 3113개로 가장 많다. 한국에는 100년 넘은 기업이 두 개뿐이다.

보고서는 “기업승계는 일자리 창출ㆍ유지, 고유기술 계승을 통한 ‘100년 기업의 토대 육성’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장남이라도 외부에서 실력을 인정받지 못하면 후계자로 지정하지 않는 등 혈연에 특혜를 없애고 능력 위주로 후계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친족 외 승계에도 상속세를 낮춰주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비윤리적 기업에는 범국민 차원의 철퇴를 가해야 장수기업이 나올 수 있다고 봤다. 좋은 품질과 서비스를 넘어 정직한 상행위가 기업의 이해관계자에 대한 신뢰를 만들 수 있다는 이것이다.

보고서는 기업은 사회의 공기(公器)라는 경영자의 인식전환과 함께 불량제품 제조기업과 비윤리적 기업에는 강력한 법률제정이나 소비자단체ㆍ시민의 지속적 불매운동 전개 등 강력하고 지속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웅진그룹의 몰락을 대표 사례로 들며 본업과 거리가 먼 새로운 사업에 대한 무리한 사업다각화를 지양하는 것이 일본의 장기존속 기업에서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교훈이라고 설명했다.

하남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