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北 ‘사이버테러’ 의심받는 데도 침묵...왜?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3·20 사이버테러’의 주체로 지목되고 있음에도 침묵만 지키고 있다. 남북간 문제만큼은 사소한 경우에도 온갖 매체를 동원해 입장을 설파하거나, 반박하던 기존의 행태와 전혀 다르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북한이 의도적으로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함으로써 책임은 회피하고 실익은 극대화하려는 속셈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청와대는 21일 방송사와 금융기관 전산망 동시다발 해킹사건과 관련,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모든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추적,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북한에 강한 혐의를 두고 있는 것은 이번 해킹사건에 사용된 악성코드가 그동안 자주 이용해온 중국경유 방식으로 유입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북한은 22일까지 아무런 반응이 없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채택과 ‘키 리졸브’ 한미합동군사연습, 미군의 전략폭격기와 핵 잠수함 훈련에 즉각 목소리를 높인 것과 전혀 다른 모습이다.

하지만 북한이 사이버테러와 관련해서는 일체 함구하는 이른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다는 점에서 새삼스럽지는 않다. 2009년 7월 디도스 대란과 2011년 농협전산망 해킹 사건, 그리고 지난해 6월 중앙일보 서버 공격 사건 때도 북한의 소행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지만 일체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심지어 지난 1월 인수위원회가 북한이 기자실에 해킹을 시도했다고 어설프게 발표했다가 번복하는 좋은 ‘먹잇감’이 던져졌을 때조차도 침묵으로 일관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 입장에서는 방송사와 금융기관 전산망 마비를 통해 이미 사회혼란과 불안감 조성이라는 성과를 충분히 얻었다고 여길 수 있다”며 “굳이 자신들이 했다, 안했다 밝힐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북한문제 전문가는 “사이버테러는 누가 했는지 모를 때 재발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진다”며 “북한은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함으로써 공포심을 극대화하고 북한의 소행 여부에 대한 논란을 부추겨 남남갈등을 유발하는 효과까지 얻으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