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엔저 장기화…명동ㆍ동대문 등 日관광객 감소, 상인들은 ‘울상’
[헤럴드경제=황유진ㆍ박병국 기자]“개시는 하고 집에 가는 겁니까?” “개시…내일하지 뭐…”

7일 오후 6시 반, 서울 명동 지하상가 상인들의 대화다. 일찍 장사를 접는 가게들이 곳곳에 눈에 띄었다. ‘개시는 하고 문을 닫냐’는 인사말이 상인들 사이에서 더 이상 어색하지 않다. 엔저(엔화 약세) 현상의 장기화로 명동ㆍ동대문 일대 일본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기면서부터다.

안경점을 운영하고 있는 양윤석 명동지하상가 회장(58)은 “50% 이상 매출이 급감했다. 25년 장사하면서 요즘처럼 힘든 적은 없다. 이렇게 계속가다가는 문 닫는 가게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한숨 지었다.

평소 일본인들로 북적이는 명동의 한 백화점 식품관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김’ 매장의 한 직원은 “한 두달 사이에 20~30% 정도 매출이 줄었다. 일본인 손님들은 김을 대량으로 사가는 편인데 요즘에는 매장을 방문하더라도 1~2개씩 소량을 사갈 뿐이다”고 전했다.

서울 동대문 시장의 한 화장품 가게도 같은 상황이다. 10여명의 손님이 있었지만 일본인은 찾을 수 없다. 이 가게 직원 양모(27) 씨는 “지난해 9월부터 손님들이 줄기 시작했다. 중국인 60%, 일본인 30% 비율로 가게를 찾았는데, 이제 일본인 비중은 10% 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인이 찾는 물건도 저가로 바뀌었다. 2만~3만원대인 비비크림과 볼터치 제품이 주로 잘 나갔지만, 지금은 1만원대의 립스틱을 주로 찾는다. 동대문 옷 가게 상인들은 “예전에는 보따리로 옷을 사갔는데 요즘에는 1만~2만원짜리 옷 한 두벌씩만 사간다”고 덧붙였다.


엔저로 직격탄을 맞은 곳 중 하나는 환전소다. 명동 지하상가에서 환전과 상품권 판매일을 하고 있는 장모(35) 씨는 “일본 총리가 바뀌고 나서 부터는 아예 일본 관광객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그나마 중국 관광객들만 환전을 해가는 형편”이라고 울상을 지었다.

동대문 두산타워 인근 한 환전가게의 손님도 주로 중국인 관광객이다. 환전소 직원 이모(50) 씨는 “작년 이맘때만 해도 하루 1억원 규모로 환전이 이뤄졌지만 지금은 5000만원도 안된다. 일본인들이 줄었기 때문”이라면서 “우리는 1원 떼기 장사인데 환율 변동폭이 30원씩이나 되니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망하는 환전가게도 있고 인근 환전가게는 주인이 바뀌었다. 여력이 없으면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시중은행 명동지점에서 5년여 간 근무한 전 모 대리(33)는 “엔화가치 하락으로 구매력이 떨어지니까 한국에 오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환전상이나 일본 관광객을 상대하는 가게들이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20%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여행자협회(JATA)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한국행 단체 관광객은 2011년 같은 기간의 44.1∼55.8% 수준으로 감소했다. 올들어서도 1월 중 한국행을 예약한 일본인 단체관광객이 전년 동월대비 55.1% 수준으로 줄었고, 2월과 3월에도 각각 43.9%, 48.5%에 그쳤다.

동대문 환전소를 찾은 일본인 대학생 에미(19ㆍ후쿠오카) 씨는 “2년 전에는 3만엔을 바꿨는데, 이번엔 2만엔만 환전했다”면서 “한국 여행을 하려는 친구들도 많이 줄었다”고 전했다.

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