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연구진. 미토콘드리아 신호전달 암호 풀어
국내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돌연변이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핵심적인 신호전달경로를 규명했다.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박경수 교수 연구팀은 포항공대 황대희 교수, 가천의대 이봉희/ 변경희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토콘드리아가 유전자 3243 돌연변이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생기는 기전에 세포내 전사인자인 RXRα(retinoid X receptor alpha)가 관여함을 밝히고 RXRα 활성물질 처리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회복됨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저명 전문 학술지인 Science Signaling 온라인판 2월 26일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소기관으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의 발전소로서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은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 병 등 퇴행성 질환 발생과 연관이 높음이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3243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3243부위의 염기서열이 A에서 G로 돌연변이 되는 것으로 국내 당뇨병 환자의 약 1%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전적 이상이다. 그러나 이 변이로 당뇨병이 발병하는 자세한 기전은 물론 치료방법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박경수 교수는 “이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돌연변이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경우 RXRα가 중요한 치료표적이 된다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한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며 “향후 심화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으로 발병되는 퇴행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고 말했다.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