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로봇 청소기‘의 무한 진화···스스로 도둑도 잡아
[헤럴드경제=이권형(대전)기자] 2002년 아이로봇(iRobot)사가 로봇청소기 ‘룸바(roomba)’를 출시한 이후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로봇청소기 출원 건수는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05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로 돌아서고 2011년에 들어서면서 회복세를 보인다. 전체 청소기 출원 건수도 유사한 변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청소기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이 2000년대 중반을 지나며 어느 정도 성숙기에 이르렀으며, 2000년대 후반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이 청소기 분야 출원에 반영된 결과란 풀이다.

다만, 전체 청소기 출원 중에서 로봇청소기 출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증감을 반복하나 2001년 4.4%에서 2011년 23.9%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전체 청소기 출원 건수가 증감을 거듭하는 과정에서도, 로봇청소기에 대한 기술 개발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미국 및 유럽의 경우도 국내와 유사한 출원 건수의 변화 경향을 보인다. 세계적으로 로봇청소기에 대한 기술 개발 비중이 전반적 증가 추세며, 다만 그 절대 비중으로 볼 때 국내에서 기술 개발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요 출원인 현황에 따르면, 2001년에는 전체 21건의 출원 중 19건이 특정 대기업에 치우쳐 있었던 것이 그 이후에는 점차 로봇청소기 전문기업 및 개인 등으로 출원의 주체가 확대되고 다양해졌다.

로봇청소기에 관한 흥미로운 출원들은 범행을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해 집주인의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동시에 최루 가스를 분사하며 경보음을 발생시켜 도둑을 퇴치하는 로봇청소기와 장애물을 만나면, 여러 개의 팔(arm)을 뻗어 이를 넘어가는 로봇청소기, 스스로 도킹스테이션에 접속해 내부의 먼지를 비우는 로봇청소기, 스스로 도킹스테이션에 접속해 새로운 먼지통으로 교체하는 로봇청소기 등 다양하다.

특허청 관계자는 “약 800억원 규모(2012년 업계 예측)의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을 넘어 전세계로 뻗어 나갈 기술을 선점키 위해, 앞으로도 로봇청소기 진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