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환율전쟁에도 한국무역 선방…경상수지 12개월째 흑자
원화강세 여파 서비스수지는 적자
‘아베노믹스’ 등 주요 국가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환율전쟁’ 속에서도 지난달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22억50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12개월 연속 흑자다. 다만 서비스수지는 원화 강세의 직격탄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3년 1월 중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전달보다 1억1000만달러 늘어난 22억5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조용승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설날이 2월로 넘어가 1월 영업일수가 늘었고, 선박 영수대금 규모도 커 경상수지가 흑자규모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수출은 전달보다 13.9% 늘어난 471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정보통신기기(20.5%), 석유제품(10.8%), 승용차(23.6%)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중국(16.6%)으로의 수출 증가세가 확대됐고 미국(21.3%), 일본(6.9%), 중동(4.2%)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로 전환했다. 같은 달 수입액은 445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12월보다 3.6% 증가했다. 이로써 상품수지 흑자는 전월 19억2000만달러에서 26억달러로 확대됐다.

반면 1월 서비스수지는 운송 및 사업서비스수지 등의 악화로 9억3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원화 강세 여파로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 운송수지 흑자가 지난해 12월 8억3000만달러에서 2억6000만달러로 급감했고, 여행수지 적자가 같은 기간 7억5000만달러에서 10억달러로 늘어난 영향이 컸다.

본원소득수지 흑자규모는 이자소득수지 개선으로 전월 6억4000만달러에서 9억7000만달러로 확대됐다.

금융계정의 순유출 규모는 한 달 전 39억4000만달러에서 9억6000만달러로 대폭 줄었다. 은행의 차입 증가로 기타투자 부문이 90억3000만달러 순유출에서 46억4000만달러 순유입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31억9000만달러 순유입됐던 증권투자도 외국인 주식투자 순유출 전환 등으로 43억7000만달러 순유출로 돌아섰다.

직접투자는 외국인직접투자 감소로 순유출 규모가 6억7000만달러에서 14억2000만달러로 늘었다. 자본수지는 500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했다.

조 부장은 “2월에는 설 연휴가 있는 등 영업일수가 적어 흑자규모가 줄어들 수 있지만 흑자 기조는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