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정순채> 스마트폰 ‘스미싱’ 피해 막으려면
확인되지 않은 앱(App)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내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강화하고, 유료게임을 공짜로 즐기기 위해 인터넷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apk파일)를 다운받아서는 안 된다.





스마트폰 사용자 3000만 시대. 스마트폰은 이제 빼놓을 수 없는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됐다. 말 그대로 스마트(smart)한 스마트폰의 편리한 기능은 일일이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하지만 빛이 밝으면 그늘도 어두운 법, 스마트폰을 활용한 각종 사기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대체 스마트폰이 뭐길래? 우후죽순 ‘범죄’에 노출돼 있는 스마트폰”이라는 제하의 헤럴드경제 기사는 적절한 문제제기 및 대책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이에 사이버범죄를 수사하는 실무자로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소액결제 사기 예방법을 당부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이용자 증가에 따라 휴대폰 소액결제는 날로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무료쿠폰 제공’, ‘모바일상품권 도착’, ‘스마트명세서 발송’ 등의 문자를 받아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무심코 문자메시지에 기재된 인터넷주소를 누르면 나도 모르는 새 소액결제 이용료가 부과되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같은 ‘스미싱’ 사기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빼내 이를 이용하는 신종 스마트폰 사기수법이다.

이 같은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 피해자가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설치돼 사기범에게 소액결제 인증번호가 전송된다. 사기범은 이 인증번호를 이용해 게임아이템이나 사이버머니를 구입하고 결제 대금은 스마트폰 명의자에게 청구하는 방식으로 ‘스미싱’이 이뤄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스미싱’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까.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의 예방수칙을 살펴본다.

첫째, 각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거나 통신사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해 소액결제를 원천 차단하거나 결제금액 한도를 제한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용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 악성코드 설치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셋째, 확인되지 않은 앱(App)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내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강화한다.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강화방법은 환경설정>보안>디바이스 관리> ‘알 수 없는 출처’에 V체크가 되어 있다면 해제하면 된다.

넷째, ‘쿠폰’, ‘상품권’, ‘무료’, ‘조회’, ‘공짜’ 등으로 스팸 문구를 미리 등록해 내 스마트폰에 스미싱 문자가 전송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차단 방법은 문자메시지로 들어가서 ‘설정>스팸 메시지 설정>‘스팸 문구로 등록’을 클릭하면 된다.

다섯째, 반드시 T스토어ㆍ올레마켓ㆍU+앱마켓 등 공인된 오픈마켓을 통해 앱(App)을 설치해야 안전하다. 마지막으로 유료게임을 공짜로 즐기기 위해 인터넷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apk파일)를 다운받아서는 안 된다. apk파일의 특성상 악성코드가 심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스미싱 피해 예방법 6가지 수칙’을 사용자가 지켜준다면, 우리의 소중한 정보와 재산을 범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