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말 잘하는 미국인인가,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인가.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정체성 논란이 뜨겁다. 30여년간 미국에서 ‘미국인’으로 살아온 김 후보자가 기술보안 등 국익을 지켜야할 부처 수장으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존재하는 반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성공신화를 이룩한 그야말로 부처 장관에 적격이라는 시각이 공존한다.
▶“미국 고급정보ㆍ인맥, 우리가 활용” vs “국정원 관계자가 타국 장관 할 수 있겠나"=온라인상에서는 김 후보자의 이중 국적 문제와 정체성 논란이 들끓었다.
아이디 ‘nine**’는 “도리어 핵잠수함 대위 출신의 김종훈을 걱정해야할 것은 우리나라가 아니라 미국일 것이다. 김종훈의 CIA 인맥과 정보를 우리나라가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funj**’도 “CIA 자문위원까지 했으면 능력검증은 끝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히려 국내 인사들의 편협한 시각을 꼬집는 이도 다수 있었다. ‘Jini**’는 “세계 곳곳에 우리 핏줄을 가진 뛰어난 분들이 많다. 어릴때 해외 나갔지만 나이가 들면서 내 핏줄 내 조국을 위해 일하고 싶어 국내로 들어오고 싶어한다. 일부 인사들이 자기 밥상이 줄어들까싶어 그들을 폄훼하고 따돌린다”고 지적했다.
반면 ‘khal**’는 “김종훈 후보자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여서 문제”라면서 “우리 미래산업과 신기술산업을 이끌 장관 가족이 전부 미국인지고 본인은 CIA와 좋은 관계를 갖고 있는데다 한국인이 된지 5일 밖에 안된 인물이란게 문제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이 우리나라와 경제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데 한국에 대한 애국심은 아직 검증되지도 않았다. 우리 신동력산업의 기밀을 다루게한다는건 어불성설”이라고 덧붙였다.
‘clim***’도 “타국 정보기관에 있던 사람이 장관을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우리 국정원 관계자가 다른나라에서 장관을 하면 어떨까”라고 했다. ‘kg93**’는 “평생 미국인으로 살아왔는데 미국과 우리 국익이 충돌할 때 합리적으로 우리를 대변할 수 있을까가 문제”라며 “차라리 한국에서 자란 다른 나라 사람이면 모를까”라고 했다.
▶전문가 “김 후보자 업무수행 능력이 중요” = 전문가들은 신설되는 미래부를 공직경험이 없는 김 후보자가 잘 이끌지에 대해 우려했다. 유용화 시사평론가는 “미국에서 기업 경영을 했다고 하지만 한국의 관료사회와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는 상태”라고 했다. 유 평론가는 “조직운영에 효율성이 정답은 아니다. 조직과 사회문화에 대해 정밀하게 알고 있어야 부처를 성공적으로 끌고 갈 수 있다. 한국조직 적응력 여부에 대해 검증된 적이 없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한 사랍대 행정학과 교수는 “관료출신이라고 조직장악 능력이 담보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 유수 연구소 사장까지 한 것을 보면 기본적으로 일과 리더십은 검증됐다고 봐야한다”고 했다. 그는 “다만 한국 관료문화에 얼마나 적응하느냐가 관건인데, 이 부분도 차관들이 잘 도와주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서균열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의 전례를 들어 김 후보자 지명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서남표 총장은 해외 성공신화로 주목받으며 카이스트대 총장에 초빙됐으나,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서 교수는 “외부인사를 중용해서 성공한 경우가 많지 않다. 제2, 제3의 서남표 총장의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신대원ㆍ김윤희ㆍ양대근 기자/wor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