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1세 소년은 커버렸지만…그 떨림은 아직도 그대로…
열일곱 클라리네티스트 김한, 21일 금호아트홀서 독주회
할머니부터 3대 걸친 음악가집안
유학때 눈치보며 외롭게 지내기도
이젠 깊이있는 선곡으로 도전할것




2007년 12월, 만 11살의 소년이 자기 이름을 걸고 독주회를 열었다. 평생을 살아도 자신의 독주회를 열지 못하는 사람도 있는데 갓 초등학교를 졸업한 어린 소년이 클라리넷을 들고 무대에 올랐다. 꽉 찬 무대, 환호와 호평, 6년이 지난 지금도 소년은 그때의 감동, 벅참과 떨림을 잊지 못한다.

클라리네티스트 김한(17)이 21일 금호아트홀에서 또 한 번 자신만의 무대를 갖는다. 이번에도 그때의 감동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까. 19일 막 리허설을 마친 김한을 서울 종로구 금호아트홀 인근 한 카페에서 만났다.

영락없는 앳된 소년이다. 군데군데 청춘의 상징 여드름을 고이 간직하고 있는 귀여운 얼굴의 소년, 얼굴엔 장난기가 가득한데 말은 제법 의젓하게 하는 것이 기특하다.

“초등학교 때 했던 금호영재 독주회가 가장 기억에 남는 것 같아요. 긴장을 제일 많이 한 연주회였죠.”


2007년 금호영재콘서트 무대로 데뷔한 김한은 이후 1년 만에 소프라노 임선혜와 협연하며 주목받았고 서울국제음악제, 대관령국제음악제 등 수많은 무대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09년 제2회 베이징 국제음악콩쿠르에선 최고유망주상을 받았고, 지난해엔 디토 페스티벌에서 앙상블 디토와 함께 무대에 오르며 꽃미남 대열에 합류했다.

“마침 클라리넷 주자가 필요했던 것 같아요. 전 그냥 게스트였죠. 살이 빠져야 하는데…”라며 그저 웃는다. 그래도 빛나는 건 음악적 재능이 아닐까. 사실 김 군의 할머니는 소프라노인 박노경(78) 서울대 음대 명예교수, 큰아버지는 통영국제음악제 이사로 있는 김승근(45) 서울대 국악과 교수, 5촌 외당숙은 작곡가 류재준(43) 씨다. 그는 “사람들의 기대치가 높아 그게 부담이 되기도 한다”며 “제가 스스로 넘어서고 감수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김 군은 큰아버지 덕에 본격적으로 클라리넷을 배우기 시작했다. 예원학교, 싱가포르 국립예술학교를 거쳐 지금은 영국의 사립명문 이튼칼리지에서 공부 중이다.

“싱가포르에선 힘들었어요. 다니던 학교가 기숙사 학교가 아니어서 다른 학교의 기숙사에서 생활했는데 친구들도 없고 저밖에 없으니 굉장히 외로웠어요. 외계인 취급 받았죠. 눈치 보여서 연습도 잘 못해요. 최대한 밖에 돌아다니다가 잘 때만 기숙사에 들어오고 그랬죠.”

혼자서 맘고생도 심했을 터다. 그래도 싱가포르에서의 짧은 몇 개월의 경험이 그를 성장시켰다. 성장은 클라리넷과 함께했다.

“클라리넷은 셈여림의 폭이 커서 강하기도 하고 조그만 소리를 낼 수도 있어요. 관악기치곤 음역대도 높아 많은 감정을 쉽게 풀어낼 수 있죠.”

이번 공연에선 슈만의 ‘세 개의 로망스’, 이건용의 ‘클라리넷을 위한 저녁노래 I’ 등을 연주한다. 그는 특히 이건용의 곡은 “우리 소리를 서양악기로 표현하는 게 전혀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았다”며 “워낙 좋아하는 곡이고 한국적 요소를 갖고 있는 곡도 넣어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클라리넷을 알리고 관악기의 저변을 넓히고 싶다는 꿈을 가진 김한. 성인으로의 문턱에 선 소년은 이제 곧 주민등록증이 나온다며 얼굴에 미소를 지어 보였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