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기 금융리스크는 원화갈등, 기업신용 위험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1년 이내 금융시스템 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원화 절상과 기업신용 위험이 꼽혔다.

한국은행이 77개 금융기관의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1월 중순 시행해 18일 발표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5대 핵심리스크(리스크를 5개씩 꼽은 후 합계를 응답자수로 나눠 계산)로 가계부채 문제(82.2%)를 비롯해 환율갈등(57.8%), 주택가격 하락(56.7%), 기업신용위험 증가(53.3%), 유로지역 위기(52.2%) 등을 지목했다.

지난해 7월 조사 때 5대 리스크에서 제외됐던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가 포함됐다. 지속하는 원화절상과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가계부채 문제는 여전히 응답 비중이 높았지만(89.2%→82.2%), 유로지역 위기는 큰 폭으로 하락(91.9%→52.2%)했다.

중국경제 경착륙과 미국 경기회복 지연은 아예 5대 리스크에서 빠졌다.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는 1년 이내인 단기 리스크로, 주택가격 하락과 유로지역 위기는 중ㆍ단기(3년 이내),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리스크로 인식됐다.

개별 금융기관이 대응하기 가장 어려운 리스크에 대해선 은행 응답자가 기업신용 위험 상승(63.6%)을, 비은행응답자는 가계부채 문제(76.5%)를 각각 꼽았다. 금융시장 참가자는 환율갈등(51.4%)을, 해외조사대상자는 유로지역위기(62.5%)를 선택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선 3년 이내 우리나라에서 금융시스템적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낮다’ 의견이 많았다. 중기(1~3년)의 경우는 ‘낮다’(27.8%)와 ‘높다’(26.6%)가 비슷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44.4%가 ‘높다’고 응답해 ‘낮다’(7.8%)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