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우려되는 저소득층 ‘빚으로 주식투자’
빚 내서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통계청과 금융투자업계에 의하면 증권투자 용도로 담보 및 신용대출을 받은 규모가 지난해 가구당 평균 55만원으로 2년 만에 두 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저소득층이나 일용직 근로자, 20대 가장 등 사회 취약계층이 그 대열에 대거 합류하고 있어 후유증이 걱정된다. 특히 소득하위 20% 미만의 대출액은 17배나 폭증, 자칫 또 다른 사회문제로 확산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세계 경제는 여전히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세한 회복 징후가 없는 것은 아니나 유로지역의 부진은 계속되고, 가까스로 재정절벽 위기를 모면한 미국도 긴축이 불가피하다.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의 성장세도 눈에 띄게 둔화하는 등 돌파구 찾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미국과 일본 등 주요 경제 강국들이 제 살길 찾느라 저환율 정책을 밀어붙이는 바람에 원화(貨) 값이 올라 우리 수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수출이 어려움을 겪으면 관련 기업들의 실적도 장담할 수 없게 된다. 주식시장 상황이 그만큼 어렵게 된다는 의미다.

이런 판에 보유 주식을 늘리는 것은 매우 무모한 판단이다. 그것도 여윳돈이 아니라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섶을 지고 불에 뛰어드는 것이나 다름없는 위험천만한 일이다. 그런데도 무리하게 투자에 나서는 것은 일확천금에 대한 막연한 기대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이른바 ‘대선 테마주’가 폭등세를 나타내자 ‘잘하면 한몫 챙길 수 있다’는 욕심에 너도나도 달려든 것이다.

무엇보다 투자자들이 한탕주의 생각을 버려야 한다. 운이 좋아 잔잔한 재미를 본 경우도 더러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일반적인 것으로 여기면 낭패 보기 십상이다. 전문가들이 과학적으로 기업 실적을 분석하고 경제 상황 변화를 철저히 감안해 투자를 해도 성공하기 쉽지 않은 게 주식시장이다. 주가는 기업의 실적과 미래 가치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거듭 상기해야 할 것이다.

당장 눈앞의 실적에 급급해 개인들의 투자를 부추기는 증권사의 책임도 적지 않다. 증권사는 설령 직접 투자를 권하더라도 시중 금리를 다소 웃도는 정도로 목표 수익률을 정해 장기적으로 돈을 굴릴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책임이 있다. 특히 개별 투자의 위험성을 충분히 고지하고 가능한 한 펀드를 통한 간접 투자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자본시장도 안정적으로 발전하고 투자자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